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이지웅]또 무너진 ‘안전제일’
또 ‘안전’이 무너졌다. 되풀이되는 사고의 단골메뉴는 ‘안전불감증’이다. 사고가 반복되면 그것은 이미 사고의 차원을 넘어선 것이다.

지난 25일 경기도 용인의 도로공사 현장에서 건설 중이던 교량상판이 붕괴돼 상판 위에서 작업 중이던 이모(67) 씨 등 인부 9명이 10m 아래로 추락했다. 이 사고로 이씨가 숨지고 8명이 부상을 당했다.

조사가 진행 중이지만 사고는 교량 상판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하던 중 철근구조물 등이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무너져내려 사고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부어 굳히는 타설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나 거푸집 등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지지대를 설치한다고 한다. 그런데 이 지지대가 부실한 까닭에 공사현장에서 타설 작업 중 붕괴사고가 자주 발생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실제로 지난달 11명의 부상자를 낸 서울 사당체육관 공사현장의 붕괴사고도 거푸집을 받쳐주는 동바리의 부실이 사고 중요 원인으로 지목된 바 있다. 즉, 이번 용인 사고 역시 천재지변처럼 불가항력적 변수가 작용해 발생한, 피치못할 사고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런 유(類)의 사고가 사회 곳곳에서, 그것도 가슴을 쓸어내릴 틈도 주지 않은 채 숨가쁘게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난 22일 어린이 3명을 포함해 5명의 목숨을 앗아간 인천 강화도 캠핑장 화재 역시 안전에 대한 느슨함이 사고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1년이 다 돼 가는 시점이지만 ‘세월호 이전보다 하등 더 나아진 게 없다’는 비관주의를 반박하기가 어렵게 되고 있다.

인재(人災)가 연달아 발생하는 사회는 천재(天災)가 연달아 발생하는 사회보다 훨씬 더 열등한 사회다. 천재를 당한 ‘사회는 사고를 막을 도리가 없었다’라는 알리바이라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인재를 당한 사회는 그럴 수 없다. 인재가 계속되는 사회는 인재의 피해자이자, 동시에 가해자이기 때문이다.

사고가 계속되면 그것은 이미 사고라고 부르기에도 민망하다. 사고가 계속되는 이 현상을 ‘사건’으로 규정하는 데서부터 문제해결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 plat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