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봄철 우울증 증가”…하지만, 전문가들도 증가 원인 몰라
[헤럴드 경제] 우울증 환자가 봄철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한 ‘우울증 월별 건강보험진료현황’ 분석결과 4년(2009~2012년)간 2~3월에 우울증 환자의 병원방문이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기준 2~3월에 우울증 환자가 9485명 증가했고 2011년 같은 기간에도 1만7727명이 많아졌다. 2010년(1만6742명), 2009년(8590명)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는 봄철 우울증 증가를 의미한다.

우울증은 몸과 마음을 안정시키거나 기분을 좋게 만드는 호르몬 세로토닌이 부족할 때 나타나기 쉬운데 이 호르몬은 햇볕을 쬘 때 몸 안에서 분비된다. 이에 해가 오래 떠 있는 계절일수록 우울증 환자가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인 이론이다.


하지만 봄철 우울증 증가, 즉 봄으로 접어드는 환절기에 오히려 우울증 환자가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전문가들은 봄철 우울증 증가 원인을 알 수 없다는 반응이다.

일각에서는 봄의 분위기에서 오는 상대적 박탈감, 봄에 있는 새로운 상황에 대한 부적응 등 외부 원인으로 인해 봄철 우울증 증가 현상이 나타난 게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우울증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의욕과 집중력이 떨어져 사회·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소화불량, 체중증가, 수면장애에 이어 자살까지 생각하게 될 수 있으니 우울증은 조기에 치료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다.

우울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햇살 좋은 날 산책이나 조깅을 하며 일조량을 늘리거나 사람들과 만나면서 혼자 있는 시간을 줄이는 게 좋다. 또한, 증상이 심할 경우 하루에 밝은 빛을 10분에서 15분간 쬐는 광 치료를 병행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사진=게티이미지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