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강화 캠핑장 참사가 우리사회에 던지는 '경고'
[헤럴드경제=김아미ㆍ배두헌ㆍ박혜림 기자] ‘급속한 성장에 뒤쳐진 법ㆍ제도와 안전불감증에 따른 예고된 참사’

평화로운 휴일 새벽을 지내던 두가족의 행복을 앗아간 인천 강화도 캠핑장 화재는 세월호 사태를 비롯해 지난 한국 사회가 겪었던 여러 안전 사고와 판박이다.

캠핑 열풍속에 지난 6년간 관련 시장이 30배 이상 불어나는 동안 정부는 제대로 된 안전규정을 갖추지 못했다.

업주들은 캠핑 붐에 편승한 돈벌이에 혈안이 돼 안전시설 구비는 뒷전이었다.

이용자들 역시 ‘설마 나에게?’ 라는 안이한 생각에 멋대로 난방ㆍ취사도구를 사용했다. 언젠가 반드시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총체적 인재’였던 셈이다.

지난 22일 강화 동막해수욕장 화재 당시 사상자들이 머물던 텐트와 유사한 형태의 인디언빌리지 전경.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

지난 22일 새벽 인천 강화군 동막해수욕장 인근 캠핌장에서 발생한 화재는 안전시스템이 부재한 한국 사회의 축소판이라는 분석이다.

캠핑 시장 규모는 커지고 화려해졌지만 안전 의식은 낙후된 이번 사고가 고도 성장속 우리 사회에 만연한 안전불감증을 여실히 보여줬다는 것이다.

23일 캠핑아웃도어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캠핑산업 규모는 액 6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2008년 약 200억원 보다 6년새 30배나 불어난 것이다. ‘캠핑족’은 50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하지만 시장 규모에 걸맞는 규제나 안전 장치는 전혀 마련되지 않았다.

실제로 이번 사고가 일어난 텐트시설은 안전에 취약하기 그지없었다.

불이 난 텐트는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소위 ‘글램핑(glamping) 텐트’다.

글램핑은 ‘화려한(glamorous)’ 캠핑이란 뜻으로 일반 텐트와 달리 전기 열선을 깐 난방 시설은 물론, 냉장고와 텔레비전 등 가전제품에 전기 콘센트까지 갖춘 텐트를 활용한다.

편리하지만 화재 발생 가능성은 더 높을수밖에 없다.

더구나 대개 캠핑장의 전기는 전문가들이 아닌 전기관련 지식이 거의 없는 업주들이 직접 설비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게다가 이번 사고가 난 텐트의 경우 불이 붙으면 순식간에 번지는 캔버스 재질로 만들어져 다른 텐트보다도 불이 번지는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 강화도 동막해수욕장 인근의 한 글램핑장 내 텐트시설에서 불이 나 어린이 3명을 포함해 5명이 숨지고 2명이 부상했다. 사망자 가운데 3명은 일가족으로 확인됐다. 사진은 이날 인천지방경찰청이 화재 현장 인근에서 확보한 폐쇄회로(CC)TV 영상을 캡처한 사진. < 인천지방경찰청 제공 >

화재 발생 개연성이 크고 한번 불이 나면 겉잡을 수 없는 환경이었던 셈이다.

그럼에도 이에 대한 대비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소방경보기는 아예 없었고 소화기는 작동되지 않았다.

화재발생 약 10여분 뒤 신고를 받고 소방차가 현장에 도착했지만 이미 손쓸 도리가 없었던 것이다.

이처럼 캠핑시설이 화재에 무방비로 놓여있었던 것은 이 캠핑장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 등록되지 않은 미신고시설로 관리 감독 사각지대에 놓여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800여개 전국 캠핑장 중 미등록 캠핑장은 1600여개로 추산된다.

감독 당국의 눈밖에서 업주들은 굳이 비용 들여가며 안전관리에 힘을 쏟을 필요가 없었다.

더구나 사고가 난 캠핑장은 화재보험에도 가입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캠핑에 사용되는 텐트 역시 안전사각지대에 놓이긴 마찬가지다. 방염 처리에 관한 규정이 없어 소방방재청 방염성능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가 적잖은 것으로 알려졌다.

더 큰 문제는 사고가 난 캠핑장보다 위험한 곳이 허다하다는 것이다. 
인천지방경찰청이 화재 현장 인근에서 확보한 폐쇄회로(CC)TV 영상을 캡처한 사진. < 인천지방경찰청 제공 >

차종호 호원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이번 화재는 다행히 글램핑장 간 거리가 멀어서 큰 불로 이어지지 않았지만, 일반 캠핑장의 텐트간 간격은 굉장히 좁다”고 지적했다.

텐트가 촘촘히 몰려있는 캠핑장에서 화재 발생시 더 큰 인명피해를 낳을 수 있는 셈이다.

우리 사회의 특이한 캠핑 행태와 이용자의 부주의도 이같은 사고 가능성을 잉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텐트안에 난방ㆍ취사 도구까지 갖추는 행태는 한국의 캠핑장에서만 볼수 있는 광경이라는 것이다.

이창우 숭실사이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집처럼 가전제품 등을 모두 똑같이 갖추면 그것이 무슨 캠핑인가”라고 반문하며 “편리성을 지나치게 추구하는 세태속에 캠핑장의 거의 모든 것이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있다”고 지적했다.

badhone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