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뉴욕 명문 특목고 아시아계 싹쓸이에 ‘인종 다양성’ 논란…배아픈 백인들의 꼼수 지적도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머리좋고 성적이 우수한 아시아계 학생들로 인해 미국 뉴욕에서 ‘인종 다양성 논란’이 일고 있다고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최근 보도했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논란의 발단은 오로지 성적순으로 선발하는 미국 뉴욕의 공립영재학교(특수목적고)의 신입생 대다수를 아시아계 학생들이 싹쓸이한데서 비롯됐다.

뉴욕에 있는 8개 명문 특목고의 신입생 가운데 아시아계가 잇따라 50%를 넘어서자 흑인, 히스패닉계는 물론 백인 학생들의 진학 기회가 박탈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이 기사내용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음.(뉴욕의 한 대학에서 강의를 듣고 있는 아시아계 학생들의 모습)

이와 관련, 뉴욕타임스는 최근 뉴욕의 8개 명문 특목고 신입생 5103명 가운데 흑인과 히스패닉계가 각각 5%, 7%로전년과 같은 수준에 그친 반면 아시아계는 52%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백인 학생 비율 28%의 배 수준에 육박하는 것이다.

학교별로는 뉴욕에서 가장 유명한 특목고 스타이브슨트에는 전체 신입생 953명 가운데 아시아계의 비율이 무려 73%에 이른다. 반면 백인은 22%, 흑인과 히스패닉계는 합쳐서 3%에 불과하다.

이처럼 특수목적고의 인종별 신입생 구성이 큰 차이를 보이자 뉴욕시 교육당국에선 인종 다양성 논란이 일고 있다.

뉴욕시 교육감 카르멘 파리냐는 “뉴욕에 있는 특수목적고도 뉴욕인구의 인종 다양성을 반영해 신입생을 선발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선발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진보 성향의 빌 더블라지오 시장도 찬성하고 있다. 뉴욕 주는 1971년부터 주법에 따라 특목고의 경우 입학시험(SHSAT) 성적만을 기준으로 신입생을 선발한다. 뉴욕 시는 지난해부터 기존 입학시험 성적뿐 아니라 내신(학교성적), 출석 현황 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가난하지만 머리가 우수한 학생들이 신분상승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고안됐던 학생 선발 방식을 바꾸려는 시도에 대한 반발도 만만찮다. 흑인과 히스패닉계 학생이 아니라 실제로는 백인 학생비율을 높이려는 꼼수란 지적도 있다.

한편 뉴욕의 특목고들은 명문 사립고등학교 수준의 교육을 무상으로 지원하고 있어 저소득층에서 선호한다. 실제로 스타이브슨트 학교의 경우 재학생의 절반가량이 급식 지원을 받을 정도로 저소득층 출신이 많다. 교육 수준이 높아 이 학교에 다니는 저소득층 학생 4명 가운데 1명꼴로 하버드대학 등 미국 동부의 명문 사립대학에 진학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계 등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일종의 신분상승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순기능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