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하이힐병’ 무지외반증, 남성환자 급증 왜?
[헤럴드경제]최근 무지외반증의 남성환자가 급증한 것으로 알려져 누리꾼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9~2013년 후천성 엄지발가락 외반증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3년 진료 인원은 5만5931명으로 연평균 7.6%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 관절을 기준으로 발가락의 뼈가 바깥쪽으로 치우지고, 발뒤꿈치 쪽 뼈는 안쪽으로 치우치는 변형되는 질환을 뜻한다. 앞이 좁고 발뒤꿈치를 불편하게 하는 하이힐을 자주 신을 경우 이 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무지외반등 남성 환자의 급증 현상은 20~30대 남성에게서 특히 두드러졌다. 무지외반증은 하이힐을 많이 신는 여성들에게 주로 발생해 병으로 ‘하이힐 병’이라고도 불리는 병이지만, 근래에는 패션에 민감해진 남성들이 운동화보다 볼이 좁은 구두를 즐겨신는데다 깔창까지 껴 발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초기에는 외형상 변화만 있고 증상이 없어 방치하기 쉽지만, 방치하면 발바닥에 굳은살이 계속 생기고 엉덩이나 허리 통증까지 유발할 수 있다”며 “우선 굽이 낮고 발볼이 넉넉한 신발을 신고, 교정용 깔창을 착용하는 게 좋다”고 설명했다.

무지외반증 발병시에는 교정용 보조기 등을 활용해 치료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효과가 없을 경우 수술치료를 고려할 수도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