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정치 바람 못막으면 금융 개혁은 백날 공염불
‘정치 금융인사’ 바람이 다시 몰아치고 있다. 목이 쉬도록 그 폐해를 지적하는 데도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이다. 우리은행이 신임 사외이사 후보로 선임한 4명 가운데 3명이 정치권 출신이거나 정치권과 연계된 이른바 ‘정피아’들이다. 특히 정한기 호서대 초빙 교수는 이광구 우리은행장과 같은 ‘서금회’(서강금융인회) 출신이다. 최고경영자(CEO)를 감시해야 할 사외이사 자리에 같은 사조직 멤버가 선임된 것이다. 새누리당 출신의 홍일화 여성신문 상임 고문 역시 산업은행 사외이사에서 이번에 새로 갈아탔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10월 정치권 인맥의 정수경 변호사를 상임 감사에 선임했다. 이로써 우리은행은 행장을 비롯해 상임감사 사외이사 등 핵심 라인이 모두 정치권 인사로 채워지는 낙하산 밭이 됐다.

KB금융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 1월부터 공석중인 상임감사 자리에 대선 캠프 출신과 전직 국회의원, 비례대표 후보 등 정피아들의 각축장이 되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KB금융지주 사장에 친박계 전 국회의원 내정설, 박지우 전 국민은행 부행장의 최근 KB캐피탈 사장 복귀 등 정치권 및 사조직 인사로 논란이 일고 있는 것도 같은 이유다. 금융연구원장에 내정된 신성환 홍익대 교수도 2012년 대선 당시 여권 국민행복추진위원회에서 활동하기도 해 낙하산 인사 논란에 휩싸여 있다.

금융기관에 대한 정치권 낙하산 인사의 부작용은 한 두가지가 아니다. 무엇보다 냉소주의와 보신주의가 판을 치게 하고 결국 조직 기강해이와 업무 차질을 가져온다는 데 심각성이 있다. 두 차례의 걸친 금융위기에서 보듯 그 모든 피해는 국민들 몫이다.

더욱이 한국 금융산업은 전례없는 위기속에 대전환점을 맞고 있다. 저금리의 고착화, 고령화, 금융과 IT 융합 등 시장 환경이 급변하고 있지만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지 못한 채 우왕좌왕하고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 후보가 10일 청문회에서 “금융산업이 양적ㆍ외형적 측면에서는 많이 성장했으나 지금까지 전혀 경험하지 못한 위기국면을 맞고 있다”고 지적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충분히 있다. 정부가 금융개혁을 4대 개혁과제에 포함시켜 적극 추진하는 것도 이같은 시급성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창조금융을 외치고 금융 토론회를 백날 열어봐야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금융권에 불고 있는 정치 바람을 차단하는 게 금융개혁과 경쟁력 제고의 첫 과제다.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금융계 인사 조차 정권의 노획물 정도로 여긴다면 금융 개혁은 공염불일 뿐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