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더치’들은 정말 ‘더치페이’할까?
[헤럴드경제] ‘더치(Dutchㆍ네덜란드인)’들은 정말 밥값을 ’더치페이‘할까.

더치페이(Dutch Pay)는 서로 먹은 값은 각자 지불하는 방식을 말한다. 네덜란드에서 유래한 말로, 더치(Dutch)는 네덜란드 또는 네덜란드 사람을 뜻한다. 


한턱 내는 한국 정서와는 다르지만, 최근 젊은층에게는 오히려 더 친숙한 문화가 됐다. 각자 먹은 밥값뿐만 아니라, 함께 먹은 술값을 인원수대로 정확하게 나눠 지불하는 풍경은 이제 익숙하다.

한국에 자리잡은 더치페이, 발원지인 네덜란드도 그럴까.

답은 ’그렇다‘. 더치들도 밥값을 정확하게 나눠 계산한다. 

 
사진=게티이미지

높은 물가때문이다. GDP 약 8800억달러인 네덜란드의 물가 수준은 상당히 높다. 때문에 한명이 밥값을 한꺼번에 계산하는 것이 상당한 부담이라는 것이다.

데이트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중저가 식당에서 식사를 해도 2인 테이블 밥값이 50유로, 우리돈 6만원이 넘는다. 따라서 계산대 앞에서 서로 눈치보지 않고 각자 먹은 만큼만 계산한다.

네덜란드에서는 본래 다른 사람에게 한턱을 내거나 대접하는 관습이 있다. 때문에 17세기 이전까지 ’더치페이‘라고 하면 ’한턱 내기‘라는 말을 뜻했다.

그러나 영국 문화가 섞이면서 원래 뜻이 바뀌었다. 네덜란드는 동인도회사를 세우고 영국과 식민지 경쟁에 나섰다. 두 나라가 경쟁을 하다 서로 갈등이 깊어졌고 영국인들은 네덜란드인을 탓하며 ‘더치’라는 말을 부정적으로 사용했다.

영국인들이 ‘지불하다’라는 뜻의 ‘페이’로 바꾸어 사용하면서, 결국 ‘더치 페이’는 식사를 한 뒤 각자가 먹은 음식에 대한 비용은 각자가 지불한다는 뜻이 됐다.

전혀 네덜란드스럽지 않았던 더치페이는 400년을 돌아 ’더치 문화‘를 설명하는 단어가 된 셈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