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 ‘제로(0)’…디플레이션 우려 “성큼”
[헤럴드경제=원승일 기자]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제로(0)’에 머물렀다.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보다 0.5% 올랐지만 연초 담뱃값 인상에 따른 물가 상승 효과 0.6%포인트를 제외하면 사실상 마이너스 물가를 기록한 셈이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2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0.5% 상승했다. 이 같은 상승률은 1999년 7월 0.3%를 기록한 이후 15년 7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더구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각각 0.8%를 기록한데 이어 3개월 연속 0%대에 머물렀다.

지난달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하락했고, 지난해 같은 달보다 0.7% 내렸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1% 상승했고, 전년동월대비로는 2.3% 올랐다.

유가하락과 소비심리 침체로 수요가 줄면서 낮은 물가상승률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디플레이션 우려가 한걸음 더 다가온 것이다. 디플레이션은 흔히 ‘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을 의미한다. 경제지표상으로는 물가가 마이너스(-)로 떨어져 상당기간 지속되고, 실제GDP가 잠재GDP 밑도는 디플레이션갭이 이어질 때 디플레이션에 진입했다고 본다.

전문가들은 현재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로 떨어진 상태는 아니어서 디플레이션으로 볼 수 없지만 매우 낮은 물가상승률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은 매우 위험하다고 경고한다.

저물가가 고착화되면 수요 침체에 따른 기업의 영업이익 감소, 생산과 투자 위축 등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빠져들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현재 국내 경제는 공급과 수요 측면 모두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공급 측면에서는 유가와 농축산물 가격 하락이 전반적인 물가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수요 또한 가계 소득 정체에 따른 소비 부진과 기업의 투자 부진 등이 겹쳐 경제를 위축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경제가 한번 디플레이션에 빠지면 정부가 쓸 수 있는 정책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일단 디플레이션에 진입하면 당국에서 인위적으로 돈을 풀거나 금리를 내려도 소비나 투자로 이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1~2년 새 디플레이션이 발생하지는 않겠지만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디플레이션을 막으려면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고, 일자리 창출, 가계 부채 감소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돈을 풀었을 때 소비와 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금리 인하와 같은 적극적인 통화정책도 주문했다. 강중구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 아직 제로금리에 가까운 미국, 일본 보다 재정이나 통화정책을 활용할 여력이 남아 있다”며 “유효한 수단이 남아 있을 때 금리 인하 등 미리 손을 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w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