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종로구, 전국 최초 행복조례 추진…도시재생 ‘양’보다 ‘질’로 승부
[헤럴드경제=최진성 기자] ‘주민 행복’ 증진을 구현하는 실질적인 정책이 나올 수 있을까. 물론 안전이나 복지, 교육, 보건ㆍ의료 등 다양한 정책의 궁극적 목표는 주민 행복이다. 그러나 주민 행복 그 자체를 정책으로 실현하려는 시도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서울 종로구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도전장을 내밀었다. 일명 ‘행복드림 1.0 프로젝트’다. 종로구는 올해부터 주민들의 실질적인 행복 증진에 맞춰 구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행복드림 1.0 프로젝트’를 가동했다.

김영종<사진> 종로구청장은 26일 인터뷰에서 “행복하기 위해선 ‘연습’과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주위 환경 변화로 충분히 행복해질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주민 모두가 행복해지는 방법을 정책으로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김 구청장은 행복지수 세계 1위 부탄을 벤치마킹했다. 부탄은 국가발전 정도를 ‘국민총행복도(GHN)’로 평가하고 이에 맞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정책 기조를 갖고 있다.

종로구는 우선 전국 지자체 최초로 구 행복조례 제정을 추진한다. 김 구청장은 “주민 행복을 주민이 직접 정의하고 종로구의 정책이 주민 행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명시할 것”이라면서 “주민 발의로 ‘종로구 행복증진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겠다”고 말했다.

조례가 제정되면 시민, 전문가 등 약 170명이 참여하는 ‘종로행복위원회’를 구성해 오는 10월께 출범시킬 계획이다. 종로행복위는 종로구 행복지표와 행복정책을 개발하고 행복실천운동을 전개하는 역할을 맡는다.

김 구청장은 “올해 1월1일자로 주민들과 행복에 대해 소통을 전담하는 ‘행복드림팀을 신설했다”면서 “단순한 복지서비스 제공이 아니라 주민 전체의 삶의 질과 실제 행복지수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행복드림 1.0 프로젝트로 소프트웨어를 강화했다면 외형 성장은 ‘도시재생’으로 추진된다. 종로구 도시재생의 모델은 스페인 북부 소도시 빌바오다. 빌바오는 1980년대 주력 사업인 철강업이 붕괴되면서 실업률이 25%까지 치솟는 등 절망의 도시였지만, 1997년 도시재생의 일환으로 문화시설을 유치하면서 관광명소가 됐다.

빌바오 사례는 경복궁 서쪽에 위치한 ‘세종마을’에 적용됐다. 이곳은 재래시장 밖에 없는 조용한 동네였지만 주변 환경을 개선하고 문화 인프라를 구축해 최근 2~3년 사이에 관광객이 찾는 명소로 변모했다.

종로구는 ‘도시재생 1번지’인 창신ㆍ숭인지역도 역사와 문화, 경제, 주거환경까지 회복될 수 있도록 도시재생을 추진하고 있다. 창신ㆍ숭인지역은 지난해 4월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선정됐다.

김 구청장은 “양적 개발과 확장보다 질적 재생과 정비를 우선하는 도시재생을 추진할 것”이라면서 “한 지역에 집중되는 블록 단위의 개발보다 중소 규모의 공간을 개발해 서로 네트워크가 이어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