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부익부 빈익빈…아기들도 ‘양극화’
출산·육아산업 날로 고급화…산후조리원 천만원도


2주짜리 산후조리원 1200만원, 12개월 여아 원피스 36만원….

선진국 반열에 올라선 대한민국 사회에서 버려지는 아이가 있는 반면 ‘금수저를 물고 태어나는 아기’들도 있다.

양극화가 고착화한 가운데 출산ㆍ육아 서비스는 날로 고급화ㆍ차별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소재 A 산후조리원은 2주 프로그램 중 저렴한 코스의 비용이 600만원, 비싼 것은 1200만원을 훌쩍 넘어선다. 


인천 소재 B 산후조리원이 같은 2주 동안 170만원을 받는 것과 차이가 크다.

두 곳 모두 정규직 간호사를 채용하고 있고 전문의들이 회진을 돌고 있지만, A 조리원은 간호사 1명이 신생아를 2명 이상 돌보지 않게끔 조절하고 있다.

담당 신생아 수가 적을수록 밀착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간호사 1명당 담당 신생아 수가 4명을 넘기기 일쑤인 B 조리원과는 대조적이다.

신생아실 1개당 아기 수도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A 조리원은 신생아실 1개당 6∼7명 입실해 있지만, B 조리원은 최소 10명 이상이다. 많게는 20명 가까이 입실한다. 


산모를 위한 프로그램도 격차가 크다. A 조리원은 전망 좋은 스위트룸이나 대형 스파 등 산모의 휴식과 산후 미용케어에 중점을 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B 조리원은 모든 방이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고, 프로그램도 기본적인 육아를 위한 강의로 이뤄졌을 뿐 피부, 몸매관리 같은 산모를 위한 서비스는 거의 없다.

이처럼 A 조리원은 VIP 서비스라고 불릴 만큼 값이 비싼 곳이지만 자리가 없어 아우성이다. 취재진이 5월 출산 예정인 산모로 가장해 전화상담을 요청하자 조리원 관계자는 “7월달까지 예약이 꽉 차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육아용품에서도 ‘양극화’는 두드러진다. 취재진이 서울 신세계백화점 고속터미널점과 남대문시장 등을 방문 취재한 결과, 시장에선 8만9000원짜리 유모차를 찾을 수 있었지만 백화점에선 독일에서 수입했다는 ‘스토케’ 유모차가 164만원에 판매되고 있었다.

인터넷 이마트에서 저렴한 카시트는 14만원이었으나, 백화점에선 Cybex 카시트가 99만원에 팔리고 있었다.

12개월 여아 원피스의 경우 시장에서는 2만원에 구매할 수 있었지만, 백화점에서는 봉포앙 제품이 무려 36만원 판매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임신부 이모(28ㆍ서울 관악구) 씨는 “안전 위주로 아기 물건들을 준비하고 있다”며 “예산 범위 안에서 준비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둘째 출산 예정인 김모(27ㆍ인천 남구) 씨는 “부자 부모와 비교해 속앓이 하는 대신 중고사이트를 활용하는 지혜를 발휘하고 있다”고 했다.

정익중 이화여대 사회복지전문대학원 교수는 “경제 여건 때문에 가난한 부모에게 태어난 아이들이 다른 출발선에 서게 될 수 있다”며 “보편적 지원을 통해 적어도 출발선을 같게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지웅 기자/plat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