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용산역 앞 공사장 5곳 추가 싱크홀 발생 우려 <종합>
[헤럴드경제=최원혁ㆍ최진성 기자] 서울 용산역 앞 공사장 인근 도로에서 추가 싱크홀 징후가 발견됐다.

서울시는 용산푸르지오 써밋 공사장 보도함몰(싱크홀) 사고 이후 긴급 지반탐사를 실시한 결과 5곳에서 추가 동공 발생이 우려된다고 26일 밝혔다. 지난 20일 행인 2명이 빠진 싱크홀까지 포함하면 총 6곳의 지반에 안전문제가 생긴 셈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공사장을 둘러싼 도로와 보도 450m를 GPR(지반투시레이더) 장비로 조사한 결과 지반층이 느슨하거나 균일하지 않는 상태인 ‘지반 불균질 신호’가 5곳에서 잡혔다.


이택근 서울시 도로관리과장은 “시가 보유한 GPR은 지표면에서 1.5m 정도만 확인이 가능하다”면서 “지하 1.5m 아래부터 터파기가 진행된 지하 10~12m까지 동공이 더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보링조사(땅에 구멍 뚫는 작업) 등 정확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한국지반공학회에 약 2주간 보링조사를 의뢰하고 조사결과에 따라 그라우팅(누수 방지 작업) 등 안전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다. 이 과장은 “시 GRP 장비의 특성상 더 깊이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면서 “동공 발생 우려가 있는 5곳은 땅을 파서 동공 상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공사장 주변 지반에 대한 안전조사가 끝날 때까지 보도와 차도에 대한 교통통제를 계속 유지하기로 했다.

한편 서울시는 20일 발생한 싱크홀과 관련, 한국지반공학회에서 원인규명을 위한 정밀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약 2개월이 소요된다고 밝혔다. 용산푸르지오 써밋 공사의 재개 여부는 원인조사 진행상황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다만 서울시는 싱크홀 원인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당초 추정한 ‘지하수 유출’을 지목하면서도 전문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하수관거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이 과장은 “하수관거가 노후화되진 않은 것으로 안다”면서도 “하수관거가 불량한지 추가로 조사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난 2012년 용산역 앞 일대에서 진행된 환경정비사업의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