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총기 등록 분포보니…수렵지역 많은 ‘비도시’ 총기사고 우범지대 우려
[헤럴드경제=서지혜 기자] 충청남도 세종시에서 치정을 이유로 동거녀와 가족들을 사냥용 엽총으로 쏴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해 충격을 주고 있는 가운데, 수렵지역이 많은 비도시 지역이 서울 등 대도시보다 총기 등록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 주요 기관이 모여 있는 충청남도 지역이 주요 대도시보다 총기 등록 건수가 월등히 많아 우려가 제기된다.

경찰청은 올해 1월31일 기준 전국 총기등록 건수는 16만3664 정에 이른다고 26일 밝혔다.

헤럴드경제가 26일 경찰청을 통해 제공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서 가장 많이 등록된 지역은 경기도로 2만6696 정이며, 충청남도 지역이 2만4215 정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충청남도의 경우 1만2681 정이 등록된 서울보다 총기 등록건수가 약 2 배 가량 많았다.

주목할 점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등 대도시에 비해 충남, 충북, 강원도 등 비도시 지역이 총기등록건수가 월등히 많았다. 자료에 따르면 충남 2만4215 정, 충북 1만419 정, 경북 1만7120 정, 경남 1만2066 정 등으로 비도시 지역은 모두 1만 정 이상의 총기가 등록된 반면 서울을 제외한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은 5000 정 안팎으로 등록 건수가 미미했다.

경찰과 전문가 등은 비도시 지역에서 수렵이 많이 행해지고 있는만큼 개인 소지 총기가 더 많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발생한 총기 사망사고는 대개 비도시 지역에서 사냥용 엽총이 범죄에 사용돼 발생했다.

특히 사냥용 엽총이 살인도구로 사용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면서 국내 총기관리 실태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경찰은 지난 해 11월20일부터 이 달 28일까지를 수렵허가기간으로 정하고 수렵면허증과 지방자치단체장의 포획승인증을 가진 사람에게 정해진 시간동안 총기를 내준다. 허가 시간을 넘기면 경찰은 긴급 소재파악에 나서고 총기를 쓸 수 없게 된다. 하지만 개인이 총기를 가지고 나가면 사실상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관리는 불가능하다. 가정폭력 등으로 112 신고가 접수된 사람에게는 총기 사용 허가를 내주지 않는 등 보완책도 있지만 강 씨의 경우 관련 신고가 접수된 전력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익명을 요구한 총포업계 관계자는 “한국이 총기 안전국이었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총기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총기 소지자에 대한 통계적인 유형을 분석해 대책으로 활용하고 불법소지자들을 수면 위로 끌어오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또한 “수렵이 많은 비도시 지역에서는 노년층이 총기를 소지할 가능성이 큰 만큼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맞는 불법 총기신고정책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현형 우리나라의 총기 보유와 관련한 규정은 엄격하다고 볼 수 있다.

개인이 공기총이나 엽총을 소지하려면 주소지 관할 경찰서장의 허가를 받아야 되고, 각종 결격 사유가 있는 사람은 소지가 안 된다.

엽총류 총기는 예외 없이 파출소, 지구대, 경찰서 등에 보관돼야 한다.

경찰에 보관된 엽총은 수렵장 운영기간에만 개인에게 내주는데 이번 수렵장 운영기간은 지난해 11월 20일부터 이달 28일까지다.

엽총의 입출고 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이고, 오후 10시까지 반납하지 않으면 경찰이 해당 개인에게 문자를 발송하고 소재 추적에 나설 정도로 총기 관리는 엄격한 편이다.

하지만 이번 사건의 범인이 총을 들고 거리를 활보하며 범행을 하는데도 속수무책이었다는 것은 충격 그 자체로 다가온다. 


gyelove@heraldcorp.com


지역별 총기 등록 건수

지역 건수

서울 1만2681정

부산 3991정

대구 5599정

인천 4651정

광주 2930정

대전 4063정

울산 3529정

경기 2만6696정

강원 1만374정

충북 1만419정

충남 2만4215정

전북 1만1862정

전남 1만711정

경북 1만7120정

경남 1만2066정

제주 2757정

전체 16만3664정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