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다이어트의 적 ‘명절음식’…칼로리 다이어트 해볼까?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 다이어트 최대의 고비, 민족 고유의 명절 설날이 다가오고 있다.

먹거리가 풍부하고 긴장이 풀리기 쉬운 설날 연휴를 기점으로 다이어트를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명절 음식의 특성상 칼로리가 높은 음식이 유난히 많기 때문이다.

설날 명절 음식은 기름을 사용하는 부침요리가 유난히 많다. 산적, 꼬치전, 동그랑땡, 부침개 등 대부분이 고칼로리 음식이기 때문에 설 연휴 동안 2~3kg 정도 살이 찌는 건 기본이다. 나누는 음식이 마냥 즐겁지만은 않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차례 상에 올리는 음식은 전통방식을 지키더라도 친지들과 함께 먹는 음식은 튀김, 전 등 기름에 부치는 요리보다 조림, 구이, 찜처럼 기름을 적게 사용하는 방법으로 조리하면 칼로리가 낮아진다.

설날 명절 음식이 눈앞에 있어도 배가 부를 때까지 먹는 것은 금물이다. 연휴가 하루이틀이 아닌데다 섭취량보다 활동량이 현저하게 적은 탓이다. 여기에 차례상에 놓았던 약과, 한과, 식혜 등 간식거리가 많아 쉽게 배가 꺼지지도 않는다. 음식이 많이 있어도 평소보다 약간 덜 먹는다는 느낌이 들도록 식사량을 조절하자.


성인의 하루 열량 섭취 권장량은 남자 2500kcal, 여자 2000kcal다. 이대목동병원 심혈관센터에서 발표한 차례 음식 구성표 열량 자료를 보면 산적, 떡국, 삼색나물, 잡채, 식혜를 먹고 후식으로 배, 사과, 단감, 약과 등까지 더하면 한 끼에 섭취하는 열량만 2000~3000kcal 달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건강증진의원 김지연 과장은 “명절 음식은 고열량식이기 때문에 명절 하루 동안 삼시세끼 명절 음식을 먹는다면 하루 열량 섭취 권장량의 세 배를 넘게 섭취하게 된다”며 “심혈관질환이 있다면 기름진 음식과 과식은 피해야 하며, 명절 음식의 열량을 확인하고 식사량을 조절하면서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차례상에 올릴 전을 요리할 때는 두부, 버섯, 채소를 많이 넣어 조리하고 부침요리의 튀김옷은 될 수 있으면 얇게 입힌다. 부침요리는 키친타올을 이용해 기름을 제거하면 섭취하는 기름의 양을 다소 줄일 수 있다. 명절 다음날 전을 데울 때는 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고 데우기보다 전자렌지에 데우고, 나물무침에도 기름이나 양념을 적당히 가미해야 하는 것이 좋다.

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