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쿠바로 돈이 몰린다…“한국기업 중장기적 계획 세워야”
[헤럴드경제=조민선 기자] 미국에 이어 한국도 쿠바와의 외교관계 정상화를 선언하면서, 쿠바에 대한 한국기업의 투자 등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2일 코트라와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쿠바에 대한 미국의 경제제재가 완전히 해제되면 세계 각국의 쿠바에 대한 투자가 170억 달러로 현재(10억달러) 대비 17배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미국의 쿠바 수출은 3억6000천만 달러(2013년)에 불과했으나 제재 해제시 59억 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됐다.

<사진제공=게티이미지>

코트라는 “미국의 대 쿠바 제재가 완화되면 쿠바 경제가 활력을 얻을거다. 쿠바 시장의 변화에 대비해 중장기적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쿠바 정부가 전략적으로 추진하는 마리엘 경제특구를 중남미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과 쿠바는 지난 1959년 쿠바의 사회주의 혁명 이후 외교 관계가 없었지만, 최근 쿠바와 관계 정상화를 선언했다.

앞서 9일 무역보험공사도 쿠바중앙은행(BCC), 쿠바대외은행(BEC)과 양해각서를 맺고 쿠바에 제품을 수출하는 우리 기업에 6000만 유로(750억원) 한도의 무역보험을 제공키로 했다.

코트라는 쿠바와의 교역에서 소비자용 정보통신기기나 농기계, 건설기기, 자동차 및 부품, 호텔용 가전, 여성용 장신구 등을 유망 품목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아직 부정부패와 지하경제가 만연하고, 만성적인 경제 부진으로 외화가 부족해 수입대금을 결제하지 못하는 사태도 있어 기업들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bonjo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