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대병원 김광준 교수, 둔위교정술로 70% 태아 자연분만 성공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출산을 앞둔 태아의 머리는 보통 산모의 뱃속에서 아래쪽으로 향하는 것이 정상인데 간혹 일부 태아의 경우 머리가 위쪽으로 향하고 엉덩이가 밑으로 향하는 ‘둔위(역아)’ 자세를 보일 때가 있다. 이런 경우를 ‘둔위(역아) 태아’라고 부르는데 국내 신생아의 4~5%가 출산 시 둔위 상태로, 이럴 때 자연분만을 하면 머리가 아닌 발이나, 엉덩이부터 나오게 되어 머리가 걸려 나오지 못하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국내 산부인과에서는 대부분 제왕절개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최근 자연분만을 선호하는 산모가 늘어남에 따라 이 같은 둔위 태아를 정상적인 자세로 돌려놓는 둔위교정술(역아회전술)을 선택해 자연분만을 유도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앙대학교병원(원장 김성덕) 산부인과 김광준 교수는 태아둔위교정 시술을 실시해 지금까지 200명 이상의 태아를 자연분만하는데 성공해 눈길을 끌고 있다.


김광준 교수는 2008년부터 지금까지 300건의 둔위교정술을 실시해 210여명의 태아의 자세를 정상 둔위로 돌리는데 성공해 70%의 성공률을 보이며 최근 이 분야에 있어 국내에서 가장 활발한 시술 경험과 노하우로 독보적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둔위교정술(역아회전술)은 임신 말기인 36~37주인데도 태아가 역아(둔위, 엉덩이가 아래로 있는 자세) 상태로 있을 때 의사가 산모의 하복부를 손으로 밀어 올리면서 머리의 방향을 아래로 조절하여 태아 자세를 정위(두위, 머리가 아래로 있는 자세)로 바꾸도록 유도하는 방법으로, 마취나 별도의 기구 없이 초음파로 태아의 위치를 보고 심장박동 등을 확인하면서 진행한다.

둔위교정술은 의학 교과서나 외국 학회 진료 지침에도 명시된 시술법으로 이미 미국이나 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적극 활용되어 오던 방법이었지만, 국내에서는 생소한데다 많은 산부인과 의사들이 지금까지 제왕절개를 권해오고 있다. 이 같은 이유를 중앙대병원 산부인과 김광준 교수는 “우리나라는 외국에 비해 제왕절개 시술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 둔위 시 제왕절개 수술이 부담이 없어 선호된 측면이 있다”며, “둔위교정술을 가르치고 배울 기회가 많이 없어 국내에서는 생소한 느낌이 드는데 시술 과정을 잘 관찰하고 몇 가지 주의사항을 지킨다면 배우기도 쉽고 안전한 시술이다”고 말했다. 실제 이 시술은 영국, 미국, 네덜란드 등 각국의 대표적인 산부인과학회에서는 둔위교정술은 매우 안전하며 만삭의 둔위 산모에게 우선적으로 권유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김광준 교수는 “현재 중앙대병원에는 국내 여러 산부인과 의사들이 둔위교정술을 배우기 위해 잇달아 방문하고 있다”며, “이 시술이 국내에 널리 퍼져서 많은 역아 산모들이 자연 분만으로 출산하기로 바란다”고 전했다.

/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