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00년 후반 SNS발달로 급속 뒷걸음
87년 민주화 이후 급속 팽창…일부 정치운동 집착 시민 외면


1987년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의 개혁운동을 주도했던 시민단체는 2000년대 후반들어 입지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90년대와 달리 사회적 이슈를 공론화하는 주체가 시민단체에서 일반 시민 개인으로 넘어가면서 영향력이 감소하고, 신뢰도도 낮아졌다.

한국민간단체총람에 따르면 90년대 1140개에 불과했던 시민단체의 수는 2000년대 5176 개로 크게 늘었다.

2000년 당시 총선 낙천ㆍ낙선 운동을 주도했던 총선시민연대는 당시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시민단체 중 하나였다.

총선시민연대는 정당 공천 및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부적격자가 국회의원으로 입후보하거나 당선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공천반대 운동 및 공천철회운동, 낙선운동 등을 전개했다.

이 연대에는 환경연합, 여성연합, 민주시민언론연합, 참여연대, 녹색연합 등 굵직한 5개 단체가 모여 주도했고, 전국적 연결망으로 확대돼 981개 단체가 참여하는 성과를 보였다.

2002년의 효순ㆍ미선 촛불운동도 시민단체의 조직력이 시민들의 관심을 끄는데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다.

단체들은 범국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촛불집회라는 연성화된 시위를 통해 관심을 유도했다.

당시 촛불시위에는 광화문에 5000여 명의 시민을 결집하게 하고, 전국적으로 7만 명의 시민들을 끌어모으는 방식으로 확대됐다. 2008년 미국쇠고기수입 반대운동은 시민단체가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한 대표적 사례다. 시민들은 인터넷 사이트인 다음 ‘아고라’ 등을 통해 의견을 모으고 결집했다.

특히 정치 현장에 무관심했던 여중고생들과 주부들이 대거 참여했다는 특징이 있다. 당시 촛불시위에서 시민단체로 구성된 ‘국민대책위원회’는 온라인ㆍ오프라인을 망라해 약 1500 여 개의 단체를 결합해 구성됐지만 시위 과정에서 정상조직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웠다. 시민들이 정치적 구호를 먼저 내세우는 시민단체의 주도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2000년대 후반 이후 시민단체의 수는 급격하게 줄어들고 영향력도 감소했다. 5176개에 이르러 전체 민간단체에서 66%의 비중을 차지했던 시민단체는 2010년 846 개로 줄어들어 전체 민간단체 중 10.8% 수준으로 떨어졌다.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커뮤니티가 생기고 시위현장을 인터넷으로 생중계하는 등 활동의 방식이 바뀌었지만 시민단체는 여전히 정치운동에 머물러 시민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지혜 기자/gyelov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