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MD 대폭 강화”…북·미 갈등‘후폭풍’한반도 덮치나
양측 최고위층 설전 이후 관계 악화일로
北 추가 핵실험 등 도발우려 목소리 확산
美 국방 지명자 발언에 中·러 반발 악재도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암살을 소재로 한 영화 ‘인터뷰’ 제작사 소니 해킹사건으로 촉발된 북미갈등의 여파가 심상치 않다.

미국 정부는 소니 해킹사건에 따른 후속대응으로 대북제재 행정명령을 발동한데 이어 제재를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이에 반발해 북한은 김 제1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유사시 미 항공모함을 타격하는 훈련을 잇달아 벌이는 등 대미 위협ㆍ도발 수위를 높이고 있다.

북미관계는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과 성 김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대화가 무산된 이후 반전의 계기조차 마련하기 쉽지 않은 상태다.

오히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과 김 제1위원장 등 양측의 최고위층까지 나서 날선 설전을 벌이면서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달 미국내 인터뷰를 통해 “북한 정권은 결국 무너질 것”이라며 이례적으로 북한붕괴론을 언급했고, 김 제1위원장은 이에 “미친개들과는 더는 마주앉을 용의가 없다”고 험악한 말을 쏟아냈다.

북미관계가 악화일로로 치달으면서 분단 70주년이자 광복70주년을 맞아 힘겹게 조성되던 한반도 유화분위기도 대결모드로 급격하게 돌아서는 모습이다.

특히 북한은 4일 김 제1위원장의 위임에 따른 것이라고 밝힌 국방위원회 성명을 통해 ‘핵무력’과 ‘상용무력’, ‘사이버 전력’을 나열해가며 무력시위 강행의지를 천명했다.

미국 내에서도 북한의 추가 핵실험 등 도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빈센트 스튜어트 미 국방정보국(DIA) 국장은 3일(현지시간) 지난해 유엔 총회에서 북한인권결의안이 채택한 직후 북한 대표들이 핵실험 가능성을 운운했다는 점을 거론하며 “북한이 앞으로 핵실험을 실시할 것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대니얼 러셀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역시 “북한이 과거의 행동패턴에 따라 도발을 감행할 수 있는 위기를 늘 염두에 두고 있다”며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천안함 사건과 같은 은밀한 비대칭적 공격, 소니 해킹과 같은 사이버 공격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은 북한의 핵 및 장거리로켓 위협에 대응해 미사일방어(MD)체계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애쉬턴 카터 미 국방장관 지명자는 4일(현지시간) 인준 청문회에서 북한이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로 미국 본토를 직접 위협할 가능성이 있다며 캘리포니아와 알래스카의 지상발사 요격미사일 숫자를 늘리는 등 미 본토 방어에 필요한 MD체계를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국의 MD체계에 대해서는 중국과 러시아가 자국을 겨냥한 것이라고 반발하고 있어 또 다른 악재가 될 수도 있다.

북미갈등에서 촉발된 후폭풍으로 인해 한반도정세까지 위협받고 있는 셈이다.

신대원 기자/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