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러시아인 열명 중 일곱명은 푸틴의 대서방 강경책 지지”...푸틴 강경책 기조 유지할 듯
[헤럴드경제=인터내셔널섹션]러시아인 열명 가운데 일곱명은 푸틴의 대서방 강경책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여론의 지지를 등에 업은 푸틴의 강경책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서방의 대 러시아 제재 역시 가중될 것으로 관측된다. 구체적인 제재 방안은 다음주 중 미국 백악관에서 있을 것으로 예고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간 정상회담 이후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3일 러시아 여론조사 전문기관 ‘레바다-첸트르’가 러시아 국민을 상대로 실시한 최근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9%는 미국과 유럽의 대 러시아 경제 제재를 실감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이 가운데 34%는 제재로 인해 심각한 문제를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제재의 영향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고 답한 사람은 12%에 불과했다.


그렇지만 서방 제재와 관련한 러시아의 대응 방향에 대해선 69%가 옳다고 보고 현재의 강경 정책을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다. 제재에서 벗어나기 위해 서방에 양보하고 타협해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21%에 그쳤다.

구체적 대응책으론 34%가 제재를 가한 국가를 상대로 유사한 맞제재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2%는 중국, 인도, 중동 국가들과 경제·군사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군 예산을 확대하고 군사력을 강화해야 한다(18%)거나 대외 채무 지불 중단을 선언해야 한다(5%)고 주장한 응답자도 있었다.

이번 여론 조사는 지난달 23~26일 전국 46개 지역 134개 도시의 주민 1600명을 상대로 실시했다고 ‘레바다-첸트르’는 밝혔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사태 개입 중단을 제재 완화 전제 조건으로 내세우는 서방의 요구를 일축하며 정부군과 교전 중인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분리주의 반군에 대한 지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서방은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를 경고하면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러시아 경제는 지난 해 말 국제유가 폭락세를 보인 이래 깊은 수렁에 빠져들고 있는 국면이다.

경제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사태 개입을 중단하지 않을 경우 서방의 대 러시아 추가 제재를 면키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이달 중 서방의 추가 제재안이 나올 경우 러시아 국민들은 높은 실업률과 인플레 등으로 지금보다 훨씬 더 큰 경제적 고통을 받아야할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점쳤다.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