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PCT 가입 30년 만에 국제출원 1300배 성장···지난해 국제출원건수 1만 3000 건 훌쩍
[헤럴드 경제(대전)=이권형 기자] 특허협력조약(이하 PCT: Patent Cooperation Treaty)을 통한 우리나라의 국제출원 건수가 1984년 조약에 가입한 이래 30년간 약 130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우리나라의 PCT 국제출원 건수는 전년 대비 5.6% 증가한 1만3138건을 기록했다. 이는 가입 첫해의 출원건수가 단 10건에 머물렀던 것에 비하면 가히 폭발적인 성장을 해오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국제출원건수는 1993년 100건, 2000년 1천 건, 2006년 5000 건, 그리고 2011년에는 1만 건을 돌파했으며 지난해에는 1만 3000건을 상회하는 출원건수를 달성함으로써 PCT 조약 가입 후 지난 30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24.1%를 기록했다. 이러한 증가세에 힘입어 한국은 미국, 일본, 중국, 독일에 이어 세계 5대 PCT 출원국의 지위를 무난히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2014년도 다출원인 중에는 삼성전자가 1위(1만639건)를 차지하였으며 LG전자(1만396건), LG화학(826건)이 그 뒤를 이었다. 이들 3대 다출원인이 전체 출원건수의 29.4%를 점유하고 있는 가운데, 중견기업인 동우화인켐(82건)이 굴지의 대기업들을 제치고 다출원 순위 8위를 차지했다.

PCT 국제출원 10대 다출원 순위에서 대학의 강세 현상도 두드러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101건)과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91건)이 각각 4위와 7위에 이름을 올렸다.

대학은 PCT 국제출원제도가 시행된 이래 1993년까지 그 출원이 전무했으나, 1994년 카이스트가 국내 대학으로서는 최초로 PCT 출원을 한 후 꾸준한 성장을 거듭해 와 2012년부터는 매년 1000건 이상을 출원하고 있다.

최규완 특허청 정보고객지원국장은 “PCT 출원건수는 우리나라의 국제적인 기술경쟁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라고 강조하고 “PCT 출원 증가세가 이어져 우수한 기술이 해외에서 조기에 권리화될 수 있도록 국제출원제도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국제출원의 편의성을 높여가겠다”고 밝혔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