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그리스 자살자 ‘긴축재정’ 이후 36% 급증”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에 놓인 그리스가 긴축재정에 나선 이후 자살율이 36% 급증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펜실베니아대학의 찰스 브래너스 역학과 교수는 2일(현지시간) 영국의학저널(BMJ) 온라인판인 ‘BMJ 오픈’에 게재한 그리스 경제사건과 자살율에 관한 연구논문에서 이같이 주장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연구팀은 그리스 헬레닉통계국(HSA)의 공식발표와 종교적인 이유로 사고사로 잘못 분류된 잠정 자살자를 포함해 지난 1983년 1월부터 2012년12월까지 30년에 걸쳐 월별 자살자 수 추이를 추적, 조사했다.

그리스에서 총선이 실시된 지난달 26일 아테네에 있는 의회 건물 밖에서 한 남성이 긴축재정에 반대하는 구호가 적힌 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 =게티이미지]

30년간 그리스 자살자 수는 총 1만1505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9079명은 남성, 2426명은 여성이었다.남성 자살자가 훨씬 많은 것은 그리스는 전통적으로 남성이 생계를 책임지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30년간 12차례 대형 경제사건이 발생한 시점과 자살자 급등락 시점이 맞아떨어졌다고 연구팀은 주장했다.

예컨대 2002년 그리스에 유로통화가 출범했을 때 등 남성의 자살자 수는 전달 보다 27.1% 급감했다.

그런가 하면 2008년 10월 금융위기에는 남성 자살자 수가 전달에 비해 13% 증가했다. 2011년 6월 그리스 정부가 구제금융안에 따라 긴축재정 실행에 나선 뒤 자살자 수는 전달 보다 35.7% 증가했다. 이후 2011년 하반기에도 자살자 수가 꾸준히 증가했으며 2012년에는 사상 최대에 이르렀다. 2012년 4~5월 새 남성 자살자수는 30% 급증했다. 한 연금수령자가 아테네 광장에서 자살한 소식이 언론에 대대적으로 다뤄지며, 대중 정서에 악영향을 끼친 것으로 지적됐다.

브래너스 교수는 이를 통해 “경제 정책 자체 뿐 아니라 대중을 상대로 이러한 정책을 설명하는 방식도 자살율 변화에 영향을 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