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중국 정부, 짝퉁 유통에 뇌물수수 ‘알리바바’ 공개 비판
[헤럴드경제=이수민 기자] 중국 정부가 ‘알리바바’의 짝퉁 유통 행위와 뇌물 수수를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국무원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공상총국)이 알리바바의 위조상품 유통, 뇌물 수수 등 불법행위를 적시한 백서를 발간했다고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공상총국은 백서를 통해 알리바바가 오픈마켓에서 가짜 담배와 술, 가짜 명품 핸드백은 물론 무기 등 각종 금지 물품을 파는 행위를 눈감아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검색어 순위를 올려주거나 광고 자리를 내주겠다는 명목으로 알리바바의 직원들이 상품 판매자들로부터 뇌물을 챙겼다고 밝혔다.

판매업자의 허위ㆍ과장 광고와 판매량을 부풀리기 위한 허위 거래를 단속하지 않는다는 비판도 나왔다.

공상총국은 “오랜 기간 알리바바는 이 같은 문제에 대해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고 효과적인 대처 방안도 찾지 않았다”며 각종 불법행위는 알리바바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는 최대 위험요소가 됐다고 강조했다.

백서 내용은 지난 7월 알리바바 관계자와의 대화를 바탕으로 작성됐으며 알리바바가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있었던 점을 고려해 지금까지 세부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

이처럼 중국 정부가 백서를 내고 자국 기업의 불법행위를 지적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조 시몬 변호사는 중국 정부의 공개비판이 전례 없는 일이라면서 “알리바바가 할 일을 다하지 않았다고 정부가 결론 내렸다는 점에 이론의 여지가 없다”고 설명했다.

알리바바는 정부의 공개적인 지적을 일부 수용하면서도 정부의 조사결과에 불만을 토로했다.

알리바바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타오바오’는 성명을 내고 공상총국의 류훙량 시장규범관리사 사장이 잘못된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해 편파적인 결론을 냈다고 주장했다.

공상총국은 앞서 23일에도 타오바오의 정품판매율이 37%에 불과하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했으며, 이를 두고 타오바오의 직원이 웨이보에서 류 사장을 공개 비판하기도 했다.


smstor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