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삼성전자-SK하이닉스, 메모리 평정…高高 실적 앞세워 시스템반도체 접수 GO GO
-삼성전자ㆍSK하이닉스, 과감한 선제투자로 나란히 반도체 실적 ‘점프’

-삼성전자, 14나노 핀펫 제품 양산으로 시스템반도체서도 실적 회복시동

-SK하이닉스 낸드 점유율ㆍ시스템반도체 기술력 높여 ‘글로벌 2위’ 겨냥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국내 반도체 업계의 ‘쌍두마차’이자 세계 메모리반도체 시장의 ‘투톱’으로 꼽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지난해 반도체 사업에서 나란히 고고(高高)한 실적을 기록하며 강자의 면모를 과시했다. 특히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부문은 지난해 4분기 전사 최대규모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실적호조를 견인했다.

두 회사는 올해 ‘실적 텃밭’인 D램 사업의 입지를 더욱 단단히 다지는 한편, 낸드플래시 사업과 시스템반도체 사업의 역량도 한층 강화해 글로벌 반도체 시장을 호령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연결기준 52조7300억원의 매출과 5조29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고 29일 밝혔다. 지난해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06조2000억원, 25조25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2013년) 매출(228조6900억원)과 영업이익(36조7900억원)보다 각각 9.83%, 31.97% 줄어든 수치다.

가전(CE)과 ITㆍ모바일(IM), 디스플레이패널(DP) 등 모든 사업부문의 연간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떨어진 가운데 반도체 사업부문만이 홀로 성장하며 삼성전자의 침몰을 막아냈다. 지난해 반도체 사업부문의 연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9조7300억원, 8조7800억원으로 2013년(매출 37조4400억원, 영업이익 6조8900억원)보다 매출은 6%, 영업이익은 27%가량 증가했다.

반도체 사업부문의 실적 호조는 D램이 이끌었다. 지난해 PC용(3월)과 모바일용(9월), 서버용(10월) 등 세계적으로 급속히 수요가 늘고있는 ‘20나노 D램’ 라인업을 대폭 늘리면서 실적이 크게 올랐다는 분석이다. 실제 지난해 반도체 사업부문의 매출 중 메모리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74%(29조3200억원)에 이른다. 아울러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의 판매량이 늘면서 낸드플래시 사업을 통한 이익도 꾸준히 발생했다.

시스템LSI 사업부의 경우 지난해 4분기 약 1500~2000억원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예상되지만, 올해 14나노(㎚=10억분의 1m) 핀펫(FinFet) 등 선도기술 제품을 기반으로 흑자전환 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에 앞서 28일 실적을 발표한 SK하이닉스 역시 지난해 매출액 171260억원, 영업이익 5조1090억원을 기록하며 2년 연속 사상 최대 연간 경영실적을 달성했다.

지난해 4분기 D램의 20나노 중반급 공정기술 비중을 40% 후반까지 확대하고, 견조한 수요를 보인 PC와 서버용 제품의 비중을 높이면서 제품 판매량을 크게 늘린 결과다. 실제 SK하이닉스의 지난해 D램 출하량은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SK하이닉스의 취약점으로 꼽혀왔던 낸드플래시 역시 모바일기기 신제품 출시에 따른 수요 증가와 10나노급 공정기술 비중 확대에 힘입어 30%의 출하량 증가를 보였다.

D램 시장을 평정, 지난해 나란히 높은 실적을 낸 두 회사는 올해 낸드플래시 사업과 시스템반도체 사업의 역량도 한층 강화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14나노 핀펫 제품과 아이소셀(ISOCELL) 고화소 CIS 등 고부가 제품 판매을 늘리는 동시에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거래선 다변화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제품 경쟁력 강화에도 주력, 보다 긴 호흡의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실제 삼성전자는 올해 애플의 차기 아이폰에 탑재될 A9 AP 생산물량의 절반 이상을 수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도 현재 4위 정도인 낸드 점유율을 끌어올려 명실공히 2대 메모리 반도체 기업으로 거듭난다는 목표다. SK하이닉스는 셀당 집적도를 높여 용량을 키운 3비트셀(TLC)와 3차원 수직적층(3D 낸드) 등 신기술을 적용한 낸드 양산을 서두르고 공정 미세화에 박차를 가해 이들과의 격차를 좁힌다는 전략이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