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내 최대 국보급 청동 유물 출토…충북 충주
[헤럴드경제=신수정 기자]충북 충주에서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등 국내 최대 수준의 국보급 청동 유물이 출토돼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재)중원문화재연구원(원장 강경숙)이 발굴조사 중인 충청북도 충주시 종합스포츠타운 조성사업 부지 내에서 구석기 유물을 비롯해 초기 철기시대와 통일신라~조선시대 무덤, 숯가마 등이 확인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발굴조사는 지난해 8월부터 진행됐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초기 철기시대 무덤은 돌무지나무널무덤(積石木棺墓) 1기와 나무널무덤(木棺墓) 2기 등 총 3기로, 그 중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상하 2단으로 굴착해 묘광(墓壙, 관을 넣기 위해 판 구덩이)을 만들었으며, 하단의 묘광에는 통나무관을 놓고 묘광 상부까지 강돌(川石)로 내부를 완전히 채웠다.

아울러 돌무지나무널무덤에서는 세형동검 7점, 청동 잔줄무늬거울 1점, 청동 투겁창(나무자루를 끼우는 청동 창) 3점, 청동 꺽창(나무자루를 묶어서 연결하는 청동 창) 1점, 청동 도끼 1점, 청동 새기개(끌의 한 종류) 4점, 청동 끌 2점 등의 청동유물 19점과 검은 간토기가 출토됐다.


이번에 발굴된 무덤은 기원전 2∼1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판단되며, 당시 충주를 중심으로 형성된 강력한 세력의 수장 묘로 발굴조사단은 보고 있다.

특히 이번에 조사된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충청북도에서 확인된 드문 사례로,유구 잔존상태가 매우 양호해 무덤의 축조방식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어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뿐만 아니라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등 7종 19점에 달하는 청동유물은 그 수량과 종류에서 볼 때 국내 최대 수준에 속해 주목받고 있다. 참고로 1971년 전라남도 화순군 대곡리에서는 이번에 출토된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청동 새기개와 더불어 청동 방울 등이 함께 발견돼 1972년 국보 제143호로 일괄 지정된 바 있다.

/ssj@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