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외환은행 노조, 하나ㆍ외환銀 통합 위한 본협상 제안
[헤럴드경제=신소연 기자]외환은행 노동조합이 하나금융지주에 ‘대화기구 발족 합의문’ 논의를 중단하고, 곧바로 본협상에 들어갈 것을 공식 제안했다.

김근용 외환은행 노조위원장은 12일 오후 명동 외환은행 본점 노조 사무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어제 하나금융 대리인인 외환은행장에게 서신을 보내 향후 60일 이내인 3월 13일까지 통합여부, 통합원칙, 인사원칙 등에 관한 실질적 협상을 통해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할 것을 정식으로 제안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약속을 지키지 않는 (하나금융)지주 측이 정당한 것처럼 포장되고있다. 대승적 차원에서 노조가 논의의 장에 나서겠다. 금융위도 양측 대화가 원만한 합의를 도출할 수 있도록 균형 있는 자세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외환은행 노조, 하나금융, 금융위 등 노ㆍ사ㆍ정은 2012년 2월 17일 향후 5년간 하나ㆍ외환은행 통합에 관한 논의를 하지 않는다는 ‘2ㆍ17 합의서’에 서명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은 “하나금융이 대화기구 발족 합의문을 ‘노사상생을 위한 공동선언문’ 정도로 변질시켰다”면서 “대화기구 발족 합의문으로 본 협상도 개시하지 못하고 대화가 경색되는 상황이라면 실질적인 사항에 관한 협상을 신속하고도 밀도 있게 진행해 새로운 합의서를 체결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통합과 관련해 노조와 합의가 없어도 통합승인 신청서를 처리할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에 대해 “금융위도 2·17 합의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면서 “노사 간의 진정성 있는 대화를 촉구한 차원이라고 생각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앞서,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작년 7월 이후 하나와 외환 간 노사 합의를 6개월 동안 기다려왔다. 이제 더 이상 기다릴 시간이 없다”면서 “아직까지 노사 합의에 진전이 없는 데 대해 유감”이라고 입장을 표명했다.

신 위원장은 “하나와 외환에 이미 충분한 시간을 줬다고 생각한다”면서 “이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관련 사안을 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 위원장은 노사간 합의 없이 통합 신청서를 제출해도 처리할 것이냐는 질문에 “당국의 입장을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그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의 통합은 노사간 합의를 이룬 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지금이라도 회사를 위해 열린 마음으로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신 위원장의 이같은 발언은 노사간의 진전없는 대화로 두 은행의 통합작업이 지지부진하자 양측의 대화를 촉구하면서 그마저도 성과가 없을 경우 하나금융지주의 통합신청-승인 등 절차에 들어갈 수 있음을 강력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