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끝없는 ‘전자담배’ 논란, "금연에 도움된다 vs 해롭고 금연효과 없다"
[헤럴드경제] 담뱃값 인상 이후 연초담배의 대체제로 혹은 금연보조제로 전자담배를 찾는 이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전자담배의 금연 보조 효과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실제 전자담배가 금연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들이 종종 보도가 되고 있는 반면 세계보건기구(WHO) 등에서는 전자담배의 금연 효과를 부정하고 있는 상황. 여기에 “전자담배의 유해성은 과장된 것”이라는 일부 여론이 일고 전자담배 판매가 급증하자 최근 복지부는 전자담배의 기체상 니코틴 함량이 연초 담배 1개비 니코틴 함량의 약 2배라는 연구결과도 내놨다. 





▶전자담배가 금연효과가 있다?=전자담배는 해롭지만 연초담배보다는 ‘덜 해롭다’는 의견 일치가 대부분 이뤄진 가운데 전자담배가 가진 금연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국내외적으로 의견이 갈리고 있다.

지난해 12월 뉴질랜드 오클랜드대학 연구진은 700여명의 실험 대상자들을 6개월 동안 추적한 결과, 니코틴 함유 전자담배를 사용한 흡연자들의 7.3%가 담배를 끊었다고 밝혔다. 니코틴 패치를 사용한 흡연자의 금연 비율 5.8%보다 높은 것이다. 앞서 11월 벨기에 루뱅대학의 연구팀도 전자담배가 단기적으로는 일반 담배의 흡연량을 줄이고 장기적으로는 일반 담배를 끊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반면 전자담배가 흡연률을 줄이지 못한다는 반대 주장들도 거세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지난해 전자담배가 청소년 흡연성향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고, 세계보건기구(WHO) 역시 전자담배의 금연효과를 부정하는 쪽에 손을 들고 있다.

이성규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박사는 “전자담배의 금연 효과를 부정하는 연구가 전반적으로 우세한 상황”이라며 “전자담배의 금연 효과를 입증한 연구들은 전자담배 제조회사와 무관하지 않은지도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무분별한 전자담배 사용, 오히려 ‘위험’= 최근 복건복지부가 지난 2012년 진행한 전자담배 기체상 위해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공개하면서 전자담배를 둘러싼 논란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전자담배가 유해하다는 보도가 이어지면서 네티즌들은 “전자담배 대신 담배를 태워 세수를 확보하려는 것”이라고 불신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복지부가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자담배 30개 종류의 액상에 대한 기체상 니코틴 함량은 1.18∼6.35g/㎥ 범위(평균 2.83g/㎥)로, 연초 담배 1개비 니코틴 함량의 약 2배다. 하지만 전체 니코틴 액상 105개 가운데 비교적 높은 농도로 오염돼 있는 액상 30개로 조사 대상을 한정했다는 점에서 연초 담배 평균과 비교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한 전자담배에서 연초 담배보다 10배 많은 발암성분인 폼알데하이드가 검출됐다는 지난해 일본 국립 보건의료과학원의 연구도 인용했는데, 이 연구 결과도 전자담배 일부 제품의 결과를 과장했다는 비난이 일기도 했다.

복지부 발표를 둘러싼 네티즌의 불신이 높아지자 복지부 측은 “전자담배의 유해성을 강조하려는 의도였다”고 밝히며 세수 확보를 위해 전자담배 사용을 막는다는 의견에 선을 그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담뱃값 인상이 서민증세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전자담배의 위험을 불필요하게 과장하다 보니 오히려 불신을 초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전자담배가 연초 담배보다 덜 유해하다는 생각에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 된다.

이성규 박사는 “전자담배를 담배가 아닌 금연보조제로 여기고 사용하는 것은 분명한 잘못”이라며 “또 전자담배는 니코틴 양 등을 본인이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