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내 상속자산 규모 연 64조원…상속준비는 고작 12%
[헤럴드경제=한석희 기자]국내 상속자산 규모가 연간(2012년 기준) 64조원에 달하고, 2020년에는 관련 자산이 108조원까지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2012년 가계금융 복지조사 결과 및 통계청 자료를 활용해 추정한 국내 총 상속자산액은 연간 64조원에 달했다. 또 축적된 부의 규모 증가, 사망인구 등을 반영한 과거 5년간 평균 자료를 활용한 결과 2020년에는 관련 자산이 연간 약 108조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와관련 보유자산 5억원 이상 40대 일반인 300명을 대상으로 ‘상속 및 상속형 신탁상품에 대한 인식’ 설문조사 결과, 상속 준비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지만 방법을 알아본 응답자는 12%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전반적으로 웰다잉(Well-dying)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고, 증여 및 상속 등 자산승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방법 등에 대해선 인식이 부족한 것이다.

자산승계와 관련해선 46.0%가 일부 증여/일부 상속을 계획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전부 사후 상속’은 40.0%로 나타났다. 반면, 자산을 전부 생전에 증여하겠다는 응답자는 14.0%에 그쳤다.

일부 증여/상속을 계획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들의 평균 증여시점은 69.2세로 이들 중 대부분이 자녀의 경제상황에 도움을 주기 위해(45.7%), 세금관련 비용 절감(33%) 등의 이유로 일부 증여/상속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전부를 생전에 증여하는 이유 역시 절세 등 비용절감(40.5%), 자녀의 경제상황에 도움을 주기 위해(31.0%)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와함께 일부 증여를 먼저 생각하고 있는 응답자들은 유언장 작성(68.1%)을 통해 자산승계를 준비할 계획인 반면, 전부 사후에 상속하겠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유언장을 작성하지 않고 사망 시점에 유언을 하겠다(60.8%)는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경진 수석연구원은 “개인별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산규모나 가족관계, 건강상태 등에 따라 선호하는 상속 방법의 차이가 난다”며 “비교적 보유 자산규모가 큰 경우 현재 자녀의 경제상황에 도움을 주고 비용절감을 위해 일부 증여를 고려하고 있으며, 자산규모가 적은 경우 스스로 노후자금 관리를 하고 본인에 대한 관심이 낮아질 것을 우려해 전부 사후 상속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또, 증여ㆍ상속과 관련한 은행의 신탁 상품인 상속형 신탁(유언대용신탁, 수익자연속신탁 등)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3%에 불과했다. 대부분의 응답자가 전혀 들어본 적 없거나, 들어보았더라도 내용을 자세히 알고 있지 못해 일반인들 사이에서 그 인지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이들 상품의 세부 내용을 인지한 후에도 수수료 부담, 본인에게 특별히 필요치 않음 등의 이유로 신탁을 활용하는데 부정적인 의견이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이는 계약자 본인 자산의 생전 및 사후관리 용이, 다양한 상속설계의 장점 등 유언으로의 신탁 활용 이점이 신탁을 이용할 만큼 장점으로 부각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세제상 혜택이 있을 경우에는 부정적 응답자 중 약 60%가 활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해 신탁을 통한 상속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세제 지원이 매우 효과적인 대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석연구원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고 수수료를 납부하는데 익숙하지 않아 수수료 수준이 높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며 “상속형 신탁을 활성화 시키고, 투명한 부의 상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세제상 혜택 등의 제도적 차원의 지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석희 기자hanimom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