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도시재생사업‘시작부터 삐걱’
선정지역 4년간 고작 100억 지원주민들 “이건 아니다” 불만 팽배
선정지역 4년간 고작 100억 지원
주민들 “이건 아니다” 불만 팽배


“이게 뭐하자는 겁니까? 4년간 100억원 지원? 눈 가리고 아웅입니다.”(장위동 P공인중개사 대표)

지난달 26일 서울시가 뉴타운 대안 사업인 도시재생사업 시범지역 5곳 선정 결과를 발표했지만 선정 지역 주민들로부터 오히려 강한 반발을 사는 등 시작 단계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일단 선정 지역 주민들은 서울시가 뉴타운의 대안이라며 내놓은 도시재생사업이 과연 뉴타운을 대체할 수 있을 지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 선정된 5곳 각각 4년간 100억원을 지원한다는 서울시 발표에 대해 구역별 1000가구에 육박하거나 그 이상인 지역에 이 정도 규모의 지원은 심각한 수준의 함량 미달이라는 것.

선정된 5곳 중 한곳인 장위1동 뉴타운 해제구역의 한 주민은 “이 구역은 조합원만 2700여명에 달했고 뉴타운이 되면 아파트 4000채 이상이 새로 들어서는 단일 구역으로 전국 최대 재개발구역이었다”며 “그런데 여기에 4년간 100억원을 지원한다고 해서 뭐가 달라지겠느냐. 100억원으로는 기껏해야 이 동네 집 30채 정도를 살 수 있다. 간에 기별도 안가는 수준”이라고 했다.

또 서울시는 자치구 공모를 통해 5곳을 선정했다고 밝혔지만 해당 지역 주민들은 도시재생사업 시범사업지를 선정하는 줄도 몰랐다는 반응이다.

서울시 의지대로 도시재생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고 해도 지역 인프라가 워낙 열악하다 보니 뭘 할 수 있겠느냐는 의심과 불만도 팽배하다.

동네 좁은 길을 따라 낡은 집이 다닥다닥 붙어 있어 확장할 수 있는 도로가 한정돼 있고, 담벼락에 금이 가 있거나 전신주에 엉킨 실타래처럼 복잡하게 엉켜 있는 전선을 어떻게 말끔히 정리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약 10여년간 뉴타운 진행이 지체되면서 낡을대로 낡은 노후 가옥도 골칫거리다. 한 노후주택 소유주는 “제 집은 1970년대에 지은 집으로 뉴타운구역에 포함된 이래 10년정도 수리를 안해 노후도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최근 인테리어업자를 불러 기본 견적을 뽑아보니 집수리 비용만 최소 1500만원이 나왔다. 이웃들도 비슷한 상황인데 구역 전체가 대대적 집수리에 들어가면 최소 집수리 비용 규모만 수백억원대가 될 것”이라고 했다. 

김수한 기자/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