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리얼푸드 뉴스] 가격 인상 지연… 판촉인가, 빼돌리기인가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한쪽에서는 고도의 판촉 전략이라고 비난한다. 그럼에도 판촉 물량을 찾을 수가 없는 모순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1일부로 대부분의 담배 가격이 인상된 가운데, 아직 기존 가격을 유지하고 있는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코리아와 재팬토바코인터내셔널(JTI)코리아 제품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품귀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발품을 팔아 소매점 여러 곳을 돌아다녀도 이들 회사의 제품을 구하기 쉽지 않은 탓에 애연가들은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BAT는 이번 주 중 가격 인상을 신고할 예정이어서 다음주면 인상된 가격이 반영될 것으로 보이지만, JTI는 현재까지 언제 변경된 가격을 신고할 것인지에 대한 대강의 계획조차 세워놓지 않아 언제쯤 가격이 인상될 것인지 짐작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동안은 이들 회사 제품의 품귀 현상이 지속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들 회사가 고의로 신고를 지연해 가격이 유지되는 동안 점유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두 업체는 “본사에서 의사 결정이 늦어져서 불가피했다”고 같은 답을 내놓았다.

담배사업법 시행령에 따르면, 담배 회사는 담배 가격을 변경하기 6일 전에 기획재정부에 신고해야 한다. BAT와 JTI는 지난달 24일까지 인상된 가격을 신고하지 않아 새해가 되어서도 기존 가격에 제품을 팔게 됐다.

문제는 24일 이후에도 언제나 신고할 기회가 있었음에도 그렇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BAT가 2011년 던힐의 가격을 200원 인상한 이후로 점유율이 반토막 났는데, 이를 만회하기 위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며 “잠깐 동안이라도 맛에 길들여지면 소비자의 취향은 바뀔 수 있다”고 의심했다.

이러한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이더라도 시중에서 두 회사의 제품을 구하기 힘들다는 점은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이다. 애연가들의 입맛을 바꾸기 위한 전략이라면 많은 물량을 풀어야 할텐데 도리어 품귀 현상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관련업계에서는 두 업체가 최근 일주일간 소매점 제공 물량을 기존의 10% 수준으로 대폭 줄였다고 보고 있다.

이에 두 업체가 세금 부담을 덜기 위해 의도적으로 공급물량을 줄였다는 지적이 나온다. 담배 1갑당 세금은 62.0%에서 올해 73.7%로 전보다 450원 가까이 오르면서 추가 세금부담이 생겨나기 때문에 이를 막으려는 것이라는 해석이다. 하지만 이 지적을 받아들일 경우 판촉전략 차원에서 가격 인상을 보류했다는 주장과는 모순에 빠진다.

한 업계 관계자는 “세금부담이 오르더라도 손해를 보지는 않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것이 정당하냐 문제를 떠나서) 판촉차원이라면 감수할 수 있는 정도의 부담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JTI 관계자는 “JTI 담배는 KT&G 공장에서 제조되는데, 공장이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4일까지 문을 닫아 출고 물량이 적을 수밖에 없었다”고 해명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소매점이나 일부 소비자가 물량을 빼돌리고 있다면 모순이 해결된다. 하지만 누가 그것을 증명할 수 있겠냐”며 “정부의 대책 없는 일처리가 누구도 믿지 못할 상황을 조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paq@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