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불황의 백화점, 버팀목은 바로‘VIP’
지난해 두자릿수 지출증가율
지난해 경기불황과 해외직구ㆍ온라인쇼핑 증가 등으로 백화점 매출이 거의 제자리에 머물렀지만 VIP의 씀씀이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전체 매출에서 소수 VIP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짐에 따라 이들 ‘큰 손’을 놓치지 않으려는 백화점들의 마케팅 경쟁도 뜨거워지고 있다.

5일 백화점업계에 따르면 서울 압구정동 갤러리아명품관 파크제이드 등급(연 2000만원이상 구매) 고객의 지난해 1∼11월 평균 객단가(구매액)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21% 늘었다.

VIP보다 한 단계 높은 VVIP급의 지출 증가율도 두 자릿 수로 집계됐다.

롯데백화점 최상위 고객(전년기준 연 1억원이상 구매)의 작년 1∼10월 객단가는14.1% 증가했다. 전체 고객 객단가 증가율(4.4%)의 3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이처럼 경기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류층 소비에 힘입어 이들이 많이 찾는 명품류 매출도 지난해 호조를 보였다.

지난해 1∼11월 롯데백화점 전체 지점의 해외 패션, 해외 시계ㆍ보석 부문 매출은 전년동기보다 13.4% 늘었다. 기존점(신규지점 제외)과 전체 지점(신규지점 포함)의 총 매출 증가율이 3.5%,7.3%에 그친 것과 비교하면 실적이 좋았다.

VIP의 소비가 불황에 휘청이는 백화점들의 ‘버팀목’이 되면서 이들을 잡기 위한 마케팅도 강화되는 추세다.

롯데백화점은 지난달 31일부터 새해 첫날까지 VIP를 대상으로 ‘신년 해맞이 기차여행’ 이벤트를 진행했다. 본점ㆍ잠실점ㆍ영등포점 등 8개 지점 우수고객 중 참가 희망자 600여명은 동해 망상해수욕장에서 첫 해돋이를 볼 수 있었다.

현대백화점도 새해를 맞아 오는 14일 우수고객 약 450명을 초청, 목동점 7층 토파즈홀에서 가수 ‘JK 김동욱’ 콘서트를 열 예정이다.

백화점들의 VIP 마케팅 경쟁은 이미 작년부터 뜨거웠다.

롯데백화점은 작년 상반기 VVIP 대상 우편광고(DM)를 계절ㆍ테마별 박스 형태로 바꿨다. 갤러리아백화점은 17∼18세기 프랑스에서 유행한 사교ㆍ토론 모임 ‘살롱’을 본 떠 독특한 VIP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이정환 기자/atto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