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기업 배당성향 22.5%…삼성·현대차 등 순환출자형은 13%
[헤럴드경제] 기업 지배구조가 순환출자 형태인지, 지주회사 형태인지에 따라 배당 수준이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주회사형 그룹의 배당성향은 60%에 달했지만 순환출자형 그룹은 13%에 불과했다.

4일 기업분석 업체인 CEO스코어에 따르면 2009∼2013년 5년간 30대 그룹 1220여개 계열사의 배당성향을 조사한 결과 2013년 보고서를 제출한 895개 기업의 배당성향은 22.5%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순이익 50조3600억원 중 11조3000억원을 배당한 것으로, 국내 12월 결산 상장법인 전체의 평균 배당성향 21.1%와도 비슷한 수준이다.

하지만 30대 그룹의 배당성향을 기업 지배구조 형태별로 구분해보면 삼성·현대차 등 9개 순환출자형 그룹의 배당성향은 13.3%로 30대 그룹 평균의 절반 정도에 불과했다.

이들 그룹 293개 계열사의 2013년도 순이익은 39조8400억원이었지만 배당금은5조3200억원에 그쳤다. 이에 따라 이들 9개 그룹의 순이익은 30대 그룹 전체의 79%에 달했지만 전체 배당금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7%에 불과했다.

반면 지주회사 형태의 지배구조를 갖춘 SK, LG, GS 등 14개 그룹 466개 계열사는 순이익 7조6600억원 중 배당금이 4조5500억원으로 배당성향이 59.3%에 이르렀다. 순환출자형 그룹보다 배당성향이 4.5배나 높다.

특히 지주회사형 그룹이 전체 30대 그룹의 순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5.2%에 불과하지만 배당액에서는 그 비중이 40.2%에 이르러 기업 지배구조별 배당성향의 차이가 확연했다.

대주주 일가가 없는 포스코·KT 등 5개 그룹은 배당성향이 75%로 가장 높았고, 4년 전에 비해서도 47%포인트나 급증했다.
최근 4년간 배당성향 추이를 살펴보면 기업 지배구조별 차이가 더욱 분명해진다.

지주형태 그룹들은 평균 배당성향이 2009년 33.4%에서 2012년 45.8%로 높아졌고, 2013년에는 다시 59.3%로 4년 새 2배 가까이로 올리며 배당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했다.
반대로 순환출자 형태의 그룹들은 같은 기간 배당성향을 평균 17.6%에서 13.3%로 4.2%포인트 낮췄다.

이처럼 순환출자형 그룹들이 배당에 소극적인 것은 계열사들이 순환출자 고리로엮여 있어 배당을 확대할 경우 세금을 이중삼중으로 납부해야 하는 구조로 돼 있기 때문이다.

박주근 CEO스코어 대표는 “순환출자형 그룹들은 계열사가 배당을 할 경우 지분을 보유한 다른 계열사들이 세금을 중첩해서 내야 하는 구조 탓에 배당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면서 “순환출자 방식의 기업 지배구조 개선 없이 기업의 배당 확대라는정부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