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권교체 국가의 증시 수익률이 높았다”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최근 1~2년 새 새로운 정권이 들어선 이집트, 인도네시아, 인도, 태국 등의 증시가 지난해 다른 나라 증시와 비교해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모건스탠리캐피탈인터내셔널(MSCI)에 편입된 각국 증시 지수 가운데 지난해 수익률 1위는 이집트 증시로 달러화 기준으로 31.1% 올랐다.

2013년 7월 군부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장악한 압둘 타파 칼리 알시시 대통령 정부가 안정화에 접어들어 안도 랠리가 펼쳐진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사상 첫 문민정부가 탄생한 인도네시아 증시가 5년 내 최고 수익률인 26.6%를 달성하며 이집트의 바로 뒤를 이었다. 기업가 출신인 조코 위도도 대통령은 유가 보조금 삭감 등 경제개혁을 발표, 세계 펀드매니저들의 관심을 불러모았다.

베니그노 노이노이 아키노 필리핀 대통령의 경제개혁도 해외 투자자들에게 통했다. 지난 한해 필리핀 증시는 26.4% 올라 3위를 기록했다.

이어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경제개혁을 취임 일성으로 내건 인도 증시가 22.6% 수익률을 내며 4위를 차지했다.

작년 8월 총리에서 대통령까지 당선되며 장기집권 중인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의 경제개혁 성과는 부진했지만, 터키 증시의 수익률은 17.8%를 기록, 세계 5위에 오르며 선전했다.


작년 5월 군부 쿠데타 정권이 들어선 태국 증시도 정정불안으로 인한 경제 둔화 우려를 씻고, 16.8% 상승, 수익률 7위 기록을 썼다.

석유 부국 카타르, 미국, UAE, 페루 등이 수익률 상위 10위에 들었다.

작년 한해 최악의 성과를 낸 증시 지수는 러시아로, 유가 하락과 서방의 경제제재에 따른 루블화 폭락으로 무려 42.3% 하락했다.


포르투갈 증시는 유로존 디플레이션 우려가 더해지면서, 37.2% 하락, 러시아에 이어 두번째로 성과가 나빴다.

저유가의 충격으로 북유럽 산유국인 노르웨이 증시는 20.3% 빠졌으며 수익률면에서 밑에서 다섯번째였다.

러시아 위기 노출이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증시가 각각 마이너스(-) 29%, 헝가리 -26.9%로 하위에서 3, 4번째를 기록, 부진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