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원규 NH투자증권 대표 "자본시장 1위 증권사로 위상 확립"
[헤럴드경제=권도경 기자] 김원규(55) NH투자증권 대표이사는 29일 “우리투자증권과 NH농협증권의 통합증권사인 NH투자증권은 사업구조를 개편해 양적ㆍ질적인 측면에서 자본시장을 선도하는 대표증권사로 위상을 확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고객이 실제로 요구하는 진정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그동안 기관투자가에만 집중되던 리서치와 자산 배분 전략을 앞으로 개인 고객에게도 서비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NH투자증권의 중장기 4대 핵심 전략으로 ▷WM자산관리 모델 개선▷압도적인 홀세일(Wholesale) 경쟁력 구축▷신성장 동력 확보▷범농협 시너지 창출 등을 선정했다.

10개 추진 과제로 ▷고객관점의 사업재편 ▷자산관리 연구.개발(R&D) 기능 강화 ▷채널과 영업제도 혁신 ▷플랫폼(Platform) 기반 사업 육성 ▷기관고객사업(IC) 사업부 신설 ▷기업금융 확대 ▷해외거점 운영 혁신 ▷글로벌 사업 성장성 확보 ▷상장지수상품(ETP) 시장 주도 ▷헤지펀드 사업 확대 등을 제시했다.


김 사장은 “개인 고객 자산관리서비스를 ‘WM2.0’으로 강화해 기관에만 편중되던 리서치와 전 세계 자산배분 전략을 개인 고객에게도 서비스하고 기업과 기관 고객(IC) 사업도 새로 구축했다”고 밝혔다.

그는 “개인 고객을 위한 ‘자산배분’ 전략은 유행 상품 추천에 그치던 기존 WM 전략에서 탈피해 전 세계 주식과 채권, 현금, 대체투자 등을 추천하는 리서치 기반 자산관리 서비스로 강화했다”며 “이는 고객 수익을 최우선시하는 경영 철학과 맞는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자산배분 R&D 조직을 운영하고 상품전략과 사후관리를 책임지는 CIO(자산배분전략 담당 임원) 제도도 도입한다.

그는 “기관 영업에선 기존 홀세일 등 영업조직을 통합해 업계 처음으로 기관 고객(IC) 사업부를 신설했다”며 “고객담당 영업직원(RM)과 상품담당 직원(PM)을 별도 배치하고 운용본부도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NH투자증권은 투자은행(IB)사업에 대해선 마진이 높은 맞춤형 기업금융 솔루션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김 사장은 “자기자본 투자를 늘리고 사모주식펀드(PEF)의 위상을 높여 자문과 인수금융, 기업공개(IPO), 대량매매(블록딜), 투자자 모집 등 종합솔루션을 제공하는 프라임 뱅커(Prime Banker)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전했다.

미래 성장동력 발굴을 위해선 헤지펀드 운용조직을 신설하고 해외주식과 상장지수펀드(ETF) 중개, 핵심상업지구(Prime Property) 투자, 실물자산 유동화, 해외 PEF등의 투자를 늘리고 금융회사 인수도 추진하기로 했다고 그는 말했다.

김 사장은 또 농협그룹 차원의 WM사업을 확대하려고 서울 강남과 도시 주요 지역에서 증권 중심의 복합 점포를 운영해 은행 고객 영업 활성화에 집중할 계획이다.

한편,김 사장은 대구상고와 경북대 경영학과를 나와 1985년 옛 LG투자증권에 입사해 사원 출신으로 처음으로 대표이사에 올라 우리투자증권과 NH농협증권 간 통합증권사의 초대 사장이 됐다.

NH투자증권은 1969년 한보증권이 전신인 옛 우리투자증권과 1991년 동아증권에서 출발한 옛 NH농협증권이 합병한 자산규모 42조 6021억원, 직원 3415명 수준의 초대형 증권사로 탈바꿈했다. 국내 지점 83개, 국내 영업소 2개, 해외 현지법인 8개, 해외 사무소 1개 등을 거느리고 있으며 NH농협금융지주가 49.1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 k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