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생활권단위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 5곳 첫 선정
-낙후ㆍ쇠퇴 지역 활성화-지역경제 부활 두토끼 잡기 도전
-지역주민ㆍ자치구 주도적 참여…도시개발 패러다임 창조


[헤럴드경제=이진용 기자] 서울시가 생활권 단위로 자생력을 확보할수 있는 도시재생 시법사업을 내년부터 본격 실시한다.

서울시는 성북구 장위1동 뉴타운 해제구역 일대, 성동구 성수1,2가 일대 등 인프라ㆍ안전 등 생활여건이 열악해 도시재생이 시급한 지역 5곳 총 285만3000㎡를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 대상으로 첫 선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은 각 지역 특성에 맞는 생활권 단위의 환경 개선, 기초생활 인프라 확충, 공동체 활성화, 골목경제 살리기 등을 통해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을 실현하는 사업이다.


시는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은 도시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해 생활권 단위로 ‘낙후ㆍ쇠퇴지역 활성화’, ‘지역경제 부활’을 동시에 추진하기 위해 선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따라 지역 주민과 자치구가 계획 수립부터 시행까지 주체로 적극 참여하고, 시가 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한 곳당 4년간 최대 100억이 지원된다. 지원비는 서울시가 90%, 자치구가 10%를 분담한다.

최종 선정된 5곳은 ▷강동구 암사1동 일대(63만5000㎡ㆍ주민이 만들어가는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는 마을 만들기) ▷성동구 성수1,2가 일대(88만6560㎡ㆍ더불어 희망을 만드는 장인의 마을 성수) ▷성북구 장위1동 뉴타운 해제구역(31만8415㎡ㆍ‘다정다감 세대공감 장위 도시재생) ▷동작구 상도4동 일대(75만㎡ㆍ함께 사는 골목동네 상도) ⑤서대문구 신촌동 일대(26만3000㎡ㆍ열리는 신촌, 공공대학 문화촌 만들기) 등 이다.

시는 주거환경정비 패러다임이 부동산시장의 구조변화를 거치며 전면 철거방식에서 보전과 재생 개념으로 점진적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시는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도시재생 선도지역’과 별개로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을 통해 4대 권역별 특성에 맞는 ‘서울형 도시재생’ 성공모델을 다양하게 만들어 서울 전역으로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선정된 5곳은 내년부터 자치구 주관으로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들어간다.

지원되는 사업비는 기본적으로 지역이 자체적으로 지속가능성을 갖추고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기반 마련, 지역 커뮤니티 조성 등 마중물 성격의 사업에 집중 투자된다.

시는 이번 도시재생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전 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예정이며, 주기적인 시ㆍ구 합동회의 개최 및 자문단 등을 통해 컨설팅을 실시할 방침이다.

진희선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은 지역주민이 직접 참여하고 서울시와 구에서 지원함에따라 낙후된 지역에 새로운 활성화 모델이 탄생할 것으로 기대한다” 며 “자생력 기반확충과 공동체 회복이라는 새로운 도시개발 패러다임을 만들어 낼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jycaf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