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해외부동산 투자현장을 가다 기획 3편>운용 전문 인력 확충이 최대 과제
[헤럴드경제=윤재섭 기자]기록적인 초저금리는 해외 부동산과 같은 대체투자(Alternative Investment)를 유인한다. 국민연금처럼 지출(연금지급액)보다 수입(보험료, 수익금)이 커서 앞으로 약 30년 간 여유자금이 순증하는 ‘성장단계의 연기금’이나 자산운용 기간을 길게 가져갈 수 있는 기관투자가는 대체투자를 계속 늘리는 게 합리적이다. 주식이나 채권보다 유동성은 다소 떨어져도 비교적 안정적인 고수익을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성공적인 투자가 되기 위해선 몇가지 조건을 갖출 필요가 있다. 위험관리체계와 내부 운용역량을 강화하는 일이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운용 전문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다. 해외부동산 투자로만 국한할 경우 현지 시장에 밝은 운용 전문가를 확보하는 것이 긴요하다.

우리금융연구소의 권우영 수석연구원은 “대체투자의 성패는 향후 시장여건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직 초보 투자 단계라서 대부분의 기관투자가들이 글로벌 투자기관을 통해 자산운용을 위탁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대체투자를 늘려야할 상황이므로 이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실례로 내년 4월 이후께로 점쳐지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금리인상 조치는 투자시장에 커다란 변화를 몰고올 것으로 점쳐진다. 미국과 유럽, 아시아의 지역별 부동산 시세는 출렁거리고, 글로벌 자산시장은 애초 예기치 못한 상황이 속출해 혼란에 빠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마땅한 전문인력이 없는 기관투자가는 큰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자산운용을 위탁한 곳은 위탁운용기관의 조언에 따라 투자처와 투자형태를 다변화할 수 있겠지만, 적기에 신속히 대응하기란 어렵다. 현지 시장 경험이 풍부한 자산운용 인력을 확충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 있다.

국내 최대 기관투자가인 국민연금만해도 국내외 주요 연기금들과 비교해 볼 때 운용인력이 ‘턱없이 모자라다’는게 중론이다. 운용해야 할 자산은 계속 불어나는데, 전문인력 충원이 제때 이뤄지지 않은 탓이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외 연기금의 자산 운용인력 1인당 운용자산 규모를 보면 국민연금은 2조1600억원으로, 한국투자공사(KIC)의 4배 수준을 넘고 있다. 비슷한 자산규모인 네덜란드 공적연금(ABP) 7600억원 보다도 약 3배나 많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운용 인력 1명당 운용자산이 16조 6000억원인 일본 공적연금(GPIF)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자산운용 인력이 많은 것 아니냐”는 반론을 펴지만 이것은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자본시장연구원의 남재우 연구위원은 “GPIF의 투자 포트폴리오는 채권 68%, 주식 32%로 단순한데다 주식투자의 경우도 내부 인력에 의한 직접운용이 없다는 점에서 운용 인력의 적정규모를 GPIF와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GPIF는 전통적인 투자에 비해 많은 비용과 인력이 요구되는 대체투자를 투자 가능 자산군에 편입하지 않고 있어 소규모 인력으로도 자산을 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GPIF가 대체투자를 하지 않는 것은 성장단계인 국민연금과는 달리 기금 적립금이 정체상태인 성숙단계에 있기 때문이다. 지출이 수입보다 커지는 성숙단계에서는 수익률 보다는 유동성이 투자판단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정부도 이같은 인식에 공감하고 있다. 국민연금의 운용 전문 인력을 내년에 65명 증원키로 하는 등 단계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국민연금의 기금이 한 해 수십 조원씩 증가하는만큼 효율적인 자산운용을 위해서는 운용 자산과 비례해 전문인력을 늘릴 필요가 있다”며 “합리적인 자산운용 방안을 계속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i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