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KT-에릭슨, 5G 네트워크 CA 핵심기술 시연
[헤럴드경제= 최정호 기자]KT와 에릭슨이 5G 핵심 네트워크 인프라인 HetNet의 매크로셀과 스몰셀의 CA(주파수병합)를 유지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 검증했다고 16일 밝혔다.

HetNet은 한 개의 매크로셀(고출력기지국)안에 다수의 스몰셀(저출력기지국)들을 구축해 데이터 처리 용량과 속도를 증가시킨 네트워크 기술로, 데이터 트래픽 폭증이 예상되는 5G 통신 환경에서 매우 효과적인 네트워크로 주목받고 있다.

문제는 이런 HetNet은 향후 5G 통신환경이 여러 대역의 주파수가 혼재된 네트워크 환경으로 구성될 경우, 스몰셀 간 핸드오버가 자주 일어나며 중첩 및 간섭지역이 대폭 증가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KT와 에릭슨은 이러한 중첩 및 간섭지역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매크로셀과 스몰셀 간 CA를 유지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 개발했다. 단말이 인접한 스몰셀 간의 이동 시 자동으로 최적의 스몰셀을 선택해 CA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기존 HetNet에서는 CA가 된 단말이 스몰셀의 커버리지를 벗어나게 되면, CA가 끊겨 제대로 된 데이터 품질을 제공받기 어려웠다. 하지만 이번 스몰셀 간의 이동에 끊김이 없이 연결하는 CA 기술을 통해 네트워크의 유기적 연동과 균일한 품질제공이 가능해졌다.

KT 우면동 연구개발센터에 설치한 HetNet 테스트베드의 검증 결과, 이 기술을 적용했을 때 간섭지역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CA연동이 되지 않던 기존보다 약 20% 이상 향상된 결과가 나왔다. 트래픽이 몰리는 도심지역 또는 대규모 경기장, 행사장 등에서도 보다 안정적인 속도로 5G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또한 추가 주파수 확보 시, 고가의 광역 커버리지 기지국을 대신하는 스몰셀을 추가 설치해 5G 네트워크 구축비용 절감도 가능할 전망이다.

전홍범 KT 융합기술원 인프라연구소장은 “KT는 에릭슨과의 기술 협력을 통해 차세대 5G 네트워크를 위한 HetNet 기반의 비용 효율적인 무선망 구축 및 운영기술을 확보했다”며 “차세대 LTE 및 5G 기지국 구축과 운용 시 고객에게 최고 수준의 무선 품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