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슈퍼박테리아 공포 덮친다…2050년 연간 대응 비용 ‘1경’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항생제 내성이 생긴 슈퍼박테리아에 감염돼 세계적으로 연간 100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미국 CNBC방송 보도에 따르면 영국 정부 항생제 내성 대책위원회는 연구보고서를 통해 “항생제내성 확산이 지구온난화보다 시급한 위협 요인으로 떠올랐다”며 “현재 추세라면 2050년까지 항생제 내성 확산에 따른 세계 각국의 대응비용이 연간 100조달러(약 11경 원)로 치솟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영국 국내총생산(GDP)의 35배 규모다.

특히 항생제 내성 대응 실패는 인구 감소와 보건수준 악화까지 불러 세계경제를 2~3.5% 후퇴시킬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항생제 내성 확대로 현대의술이 암흑기를 맞으면 30여 년 뒤 나이지리아에서는 항생제 내성균 감염환자가 전체 사망자의 25%에 이르고, 인도에서는 매년 200만 명이 항생제 내성균으로 사망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지역별로는 항생제 내성에 취약한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각각 연간 473만 명과415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남미는 39만2000 명, 유럽은 39만 명, 북미는 31만7000 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항생제 내성이 일반화하면 제왕절개나 장기이식 등 의료기관에서 보편화한 시술도 힘들어져 의료 수준이 후퇴하고 세계 경제에도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했다.

항생제 내성 문제는 단순한 감염 질환만으로도 누구나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심각성 때문에 범지구적 위협으로 여겨지고 있다.

보고서 작업을 이끈 골드만삭스 출신의 이코노미스트 짐 오닐은 항생제 내성 확대가 의료 현장에 미칠 영향까지 고려하면 “이런 숫자는 더 불어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오닐은 브릭스(BRICS)와 민트(MINT) 등 경제신흥국 용어를 만들어 유명한 오닐은 “항생제 내성 문제를 극복하려면 신흥경제국 등 세계적인 공조노력이 요구돼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등을 통한 논의 확대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sparkli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