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쟁보다 무서운 강력범죄…한 해 47만5000명 사망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전 세계 강력범죄로 인한 사망자가 전쟁으로 인한 사망자 수를 훌쩍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해 50만 명에 가까운 인명이 살인과 폭력행위로 숨지고, 전 세계 인구의 7분의 1이 이같은 강력범죄의 피해를 입었다.

세계보건기구(WHO), 유엔개발계획(UNDP),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등 유엔 국제기구가 공동으로 발표한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강력범죄 사망자는 47만5000명이었고 2000년 이후 약 600만 명이 숨진 것으로 드러났다고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

보고서는 “이 기간동안 발생한 모든 전쟁을 합쳤을때보다 살인을 저지르는 것이 더 빈번한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게티이미지]

특히 강력범죄는 15~44세 남성의 사망원인 가운데 3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에티엔느 크루그 WHO 질병ㆍ부상예방국장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있었던 기자회견에서 지구촌 인구의 7분의 1에 해당하는 10억 명의 사람들이 살면서 폭력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고 밝혔다.

크루그 국장은 개별적인 폭력행위로 인해 사상자가 발생하는 것은 그 자체로 ‘매우 큰 공공보건 문제’라고 지적했다.

WHO, UNDP, UNODC 등은 세계 인구의 88%에 해당하는 133개국에서 자료를 수집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은 살인 뿐 아니라 아동학대와 젊은층과 친밀한 관계에서의 학대, 성폭력, 노인학대 등을 포함한 가정 내 폭력 등을 가늠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고자 이같은 보고서를 만들었다.

[사진=게티이미지]

보고서에 따르면 희생자 중에서도 아동 4명 가운데 1명이 육체적인 학대를 당했다. 소녀들은 5분의 1이 성적인 학대에 시달렸으며, 여성 3명 중 1명은 육체적 혹은 성적 학대를 주변인들로부터 겪었다.

이같은 결과는 광범위한 조사와 분석에 기초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 교내 왕따방지 프로그램이나 위험에 처한 가정 방문, 노인 간병인 보조 등과 같은 문제를 예방하거나 줄일 수 있는 서비스를 시행하는 국가는 조사에 참가한 국가들 중 3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폭행 피해자를 보호하거나 지원할 수 있는 조정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국가도 절반에 달했다.

피해자를 위한 정신건강 서비스를 실시하는 국가도 절반이 채 되지 못했다. 특히 아프리카는 15% 수준에 그쳐 피해자에 대한 정신건강 서비스의 필요성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됐다.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