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푸대접받는 한국증시…글로벌 경쟁사 대비 저평가
삼성전자 PER 9.9배 애플은 14.5배
올해 배당성향도 세계 최저 수준


국내 대표 기업들의 주가가 글로벌 경쟁사보다 크게 저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9.9배로 애플(14.5배)에 크게 못 미쳤다.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비율로, 이 수치가 낮을수록 기업 실적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된 것으로 해석된다.

LG전자(8.7배), SK하이닉스(8.0배), LG디스플레이(10.1배) 등 IT분야 주요 기업들도 같은 업종의 노키아(21.6배), HTC(56.4배), 인텔(15.9배)보다 저평가됐다.

현대차와 기아차의 PER은 각각 5.7배, 6.2배로 역시 포드(9.7배), 도요타(10.6배), 다임러(10.3배)보다 낮았다. NAVER는 29.1배로 국내 대형주 가운데선 높은 수준이지만 경쟁사인 페이스북(40.0배)과 비교하면 낮다.

LG화학과 롯데케미칼은 각각 10.0배, 12.7배로 시노펙(24.9배), 미츠비시케미칼(15.1배) 등 경쟁기업보다 낮은 수준이다.

대표주들의 저평가는 곧 한국 증시 저평가로 이어진다. MSCI Korea지수의 12개월 선행 PER은 9.7배로 주요국 증시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다. 세계 평균 14.7배는 물론 신흥국 평균 10.9배에도 못 미쳤다.

최근 고용지표 호조 등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까지 오른 미국 증시의 PER은 16.3배로 높았다.

일본 증시의 PER은 14.6배였다. 도쿄증시의 토픽스지수는 아베노믹스에 따른 엔저 흐름 속에 최근 2007년 이후 최고치까지 상승했다.

한국 증시가 저평가된 요인으로는 낮은 배당수익률과 후진적인 기업지배구조가 꼽힌다.

올해 한국 증시의 예상 배당성향은 13.7%로 영국(46.2%), 대만(43.6%), 브라질(38.5%), 중국(29.6%), 미국(29.4%), 일본(26.2%) 등 주요국과 격차가 크다.

김우영 기자/kw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