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조동석> ‘독버섯’ 금융권 사조직
올해 금융권은 유난히 시끄러웠다. 국가 대동맥 역할을 해야 할 자금중개 기능보다, 신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해야 할 금융선진화 이슈보다 사건과 사고가 금융권 안팎을 뒤덮었다.

중심에는 사람의 문제가 자리잡고 있었다. 돈에 눈이 먼 사람들은 개인정보를 함부로 다뤘고, 우리나라 리딩뱅크의 두 수장은 감정싸움을 벌이며 조직을 팽개쳤다. 조직의 최고경영자(CEO)가 교체될 때마다 어김없이 잡음이 일었다. 

그나마 세월호 사태를 계기로 관피아(관료+마피아)로 불리는 낙하산 인사는 한동안 잠잠해졌다. 하지만 그 자리를 사(私)조직과 정치권력이 손잡은 보이지 않는 새로운 권력이 파고드는 분위기다. 관피아는 전문성이라도 있다고 치자. 정치 실세가 자신에게 유리한 사람을 금융권 요직에 앉히는 신관치금융은 더 큰 문제라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최근 서금회(서강대 출신 금융인 모임)가 세상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그들의 강력한 부인에도 불구하고, 정치권력이 뒤에 버티고 있다는 의혹이 끊임없이 나온다. 단지 호사가들이 그럴듯하게 꾸민 이야기일까.

우리은행 차기 행장 선임과정을 보면 궁금증은 증폭된다. 애초 유력했던 행장 후보가 단숨에 뒤집어졌다. 그리고 논란의 중심인 서금회 멤버가 낙점된다. 행장후보추천위는 거수기로, 금융당국은 정치권의 의중을 관철시키기 위한 하수인으로 전락했다. 이순우 현 행장이 외압으로 연임을 포기한 정황이 속속 드러났다. 능력을 떠나 선임 과정에 적지 않은 문제점이 노출됐다.

현 정부에서만 벌어진 일일까. 정권에 따라 고려대(이명박 전 대통령의 모교)와 서강대(박근혜 대통령의 모교) 출신이 금융회사나 금융기관의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 사정이 이렇게 되자 연세대 출신 금융인들도 ‘연세금융인회’(연금회)를 출범시켰다.

사조직은 애초 친목도모를 위해 동문들이 만든 모임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사익 추구에 혈안이 돼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매개는 정권 실세와 비슷한 배경을 가진 출신과 인맥들이다. 묻고 싶다. 우리나라 금융회사의 수장 자리가 그런 곳인가.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