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0대그룹 미처분이익 2010년 후 최저…배당 줄어들 듯
[헤럴드경제] 올해 경기 침체로 기업 실적이 악화하면서 10대그룹의 배당재원 등 ‘미처분 이익금’이 1년 새 18조원 급감해 2010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정부의 배당 확대 정책에도 불구하고 주요 상장 대기업들의 올해 배당금은 1조원 가량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또 현대중공업과 한진 등 2개 그룹은 주요 계열사의 적자로 미처분 이익금이 마이너스(-)로 추락해 차입이나 자산 매각을 통해 자금 수혈이 불가피해졌다.

7일 재벌닷컴이 자산 상위 10대그룹 소속 상장사의 미처분 이익금을 조사한 결과 올해 9월 말 현재 73조7천600억원으로 작년 말 91조8천300억원보다 19.7%, 금액으로 18조600억원 줄어들었다.

10대그룹의 미처분 이익금이 80조원을 밑돈 것은 지난 2010년 이후 처음이다.

기업의 미처분 이익금은 영업 활동을 통해 얻게 된 이익잉여금에서 법정적립금 등으로 처분되고 남은 활용 가능한 돈으로, 현금배당이나 연구개발비 등으로 주로 사용된다. 지난해 10대그룹의 미처분 이익금에서 차지하는 배당금 비율은 7.6%로 6조9천800억원에 달했다.

10대그룹의 미처분 이익금은 지난 2010년 87조1천600억원에서 2011년 98조7천200억원으로 급증했다가 2012년엔 소폭 줄어든 89조5천억원을 기록했으나, 매년 90조원 안팎의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올해 대기업 상장사들의 이익이 급감하면서 미처분 이익금도 대폭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조사 대상 10대 그룹 상장 계열사 69개사(상장 금융계열등 일부 제외)의 올해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48조6천40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의62조9천억원보다 23%(14조2천700억원) 급감했다.

그룹별 미처분 이익은 SK와 GS, 한화 등 3개 그룹을 제외하고 삼성과 현대자동차, LG, 롯데, 포스코, 현대중공업, 한진 등의 7개 그룹에서 모두 감소했다.

이 중 현대중공업과 한진 등 2개 그룹은 핵심 계열사들의 적자로 미처분 이익금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이 대규모 적자를 내면서 현대중공업그룹의 미처분 이익금은 작년 말 8천700억원 플러스(+)에서 1조9천600억원 마이너스(-)로 곤두박질쳤다. 작년 말 700억원이던 한진그룹의 미처분 이익금도 2천억원 적자(-)로돌아섰다.

재계 1위 삼성그룹의 미처분 이익금도 작년 말 33조6천900억원에서 올해 27조6천200억원으로 18%(6조700억원) 감소했다.

현대자동차그룹과 LG그룹의 미처분 이익은 각각 10조6천500억원과 9조1천200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5조원 이상씩 급감했다. 포스코그룹의 미처분 이익금도 8천700억원으로 작년보다 1조3천500억원 줄어들었다.

그러나 SK하이닉스의 실적 호조 등으로 SK그룹의 미처분 이익금은 22조3천800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3조2천500억원 늘어 10대그룹 중 증가폭이 가장 컸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