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내년7월부터 LNG 연700만t생산…30년 운영권…에너지 자립 성큼
한국가스공사 호주 가스전 개발…현장을 가다
[로마(호주)=하남현 기자] 지난달 25일(현지시각) 호주 퀸즐랜드 주 브리즈번에서 전용기로 약 1시간 30분을 이동해 도착한 소도시 로마(Roma). 호주 사막지대에 자리잡은 자그마한 도시다.

다시 버스로 1시간 가량을 내달리자 ‘로마2 허브 스테이션(Romaⅱ Hub Station)’이 그 모습을 드러냈다. 한국가스공사가 참여한 호주 가스전 개발 사업 ‘글래드스톤LNG(GLNG) 프로젝트’의 승압 기지다. 인근 가스정에서 천연가스를 모은 뒤 파이프라인을 통해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 천연가스는 파이프라인을 따라 420㎞를 이동해 항구도시 글래드스톤으로 옮겨진 후 배로 운송하기 용이한 액체상태인 액화천연가스(LNG)로 변모한다. GLNG 프로젝트는 지난 2011년 시작된 사업으로 가스공사가 지분 15%를 갖고 있다. 호주 산토스(지분 30%),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27.5%), 프랑스 토탈(27.5%) 등 굴지의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이 동참했다.

공정률 88.2%를 기록 중인 GLNG 프로젝트는 내년 7월 첫 상업생산을 개시한다. 연간 LNG 생산량 700만t 중 350만t이 국내에 도입된다. 국내 연간 가스소비량인 4000만t의 8.75% 규모다. 삽을 뜬지 4년 만에 첫 결실을 맺는 셈이다.

한국가스공사가 참여한 GLNG 프로젝트는 내년 7월 첫 상업생산을 시작해 연간 700만t의 LNG를 생산한다. 이 중 350만t은 한국에 도입된다. 호주 퀸즐랜드주 로마에 있는 GLNG 프로젝트의 승압기지‘ 로마 허브2’ 전경. [사진제공=한국가스공사]

사업 과정은 만만치 않았다. 투자비가 당초 예상치인 2조8878억원보다 1조4000억원 가까이 늘어난 4조2592억원으로 불어났다. 계약 후 원자재 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다. 홍수 등 기상악화로 공사 일정에 차질을 빚기도 했다. 하지만 가스공사는 생산이 본격화되면 2018년부터 매년 4000억원 이상의 꾸준한 배당을 받을 수 있고 30년 운영권을 갖고 있는 만큼 장기적으로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자신했다.

맹주호 가스공사 호주법인 부법인장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상업생산에 들어가 30년 동안 운영되고, 생산량의 절반가량이 국내로 도입된다”며 “에너지 자립과 자원 안보 측면에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