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아파트 거래량 9.1대책 이전 수준으로 감소…10월보다 33.4% 줄어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정부의 9.1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반짝 증가했던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달 다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8495건으로 집계됐다. 전달보다 33.4%나 줄어든 수치다.

올해 들어 서울의 아파트 거래량은 2.26 임대차시장 선진화 방안 발표 후 6월까지 감소했다가 7.24조치와 9.1대책 등 부동산 정책 발표로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며 7월부터 10월까지 넉 달 연속 상승했다.

10월 아파트 거래량은 1만889건으로 2008년 4월(1만2173건) 이후 처음으로 1만건을 돌파하며 부동산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지난달 아파트 거래량은 작년 11월(7447건)보다는 14.1% 늘어난 수준이다. 그러나 올해 9월과 비교하면 3.1%(277건) 감소했다.


부동산 전문가들과 시장에서는 지난달 거래량이 크게 주저앉은 것을 9.1대책의효과가 끝났다는 신호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10월 거래량 증가는 9.1대책 수혜 단지로 꼽혔던 재건축 추진 단지와 재건축 연한 단축에 따른 호재 아파트가 몰린 지역의 거래량 증가가 견인했다. 또한 지난달 거래량 감소도 이 지역 거래량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

지난달 양천구의 거래량 감소폭이 가장 컸고 마포구, 강남구, 중랑구 순이었다.

목동 등 재건축 단지가 몰려 있는 양천구는 9.1대책 최대 수혜 지역으로 꼽히며 거래량이 9월 352건에서 10월 566건으로 60.5%나 증가했지만, 지난달에 다시 9월과 같은 수준(352건)으로 떨어졌다.

마포구의 거래량은 전달보다 36.1% 감소한 288건이었으며 강남구와 중랑구는 각각 33.4% 줄어든 526건, 273건으로 나타났다.

용산구(-31.4%), 광진구(-27.4%), 성동구(-27.3%), 도봉구(-26.4%), 노원구(-24.6%), 구로구(-24.3%), 강동구(-22.1%) 등의 거래량 감소폭도 상대적으로 컸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 부동산전문위원은 “부동산 정책 효과가 시기적으로 가을 이사철과 맞물려 나타나면서 거래량이 증가했지만, 실수요자들이 기존 아파트 거래 시장보다 분양시장으로 몰리며 생각보다 정책 효과가 빨리 다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는 기존 아파트 거래 시장의 수요층이 두텁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다가오는 성수기인 내년 1∼2월 겨울방학 이사철에 기존 아파트 거래가 얼마나 이뤄지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