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닫힌 지갑 이유있었네…실질임금상승률 2년9개월來 최저
3분기 0.08%…4분기 마이너스 가능성
실질임금 상승률이 2년9개월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소비가 살아나지 않는 주된 이유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근로자가 손에 쥐는 명목임금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분을 뺀 것으로, 실질적인 구매력을 나타낸다.

1일 한국은행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 3분기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실질임금은 월평균 295만800원으로 1년 전의 294만8552원보다 2248원(0.08%) 늘었다. 2011년 4분기(-2.4%) 이후 2년9개월만에 가장 낮다.

전년대비 실질임금 상승률은 지난해 2분기 3.4%에서 3분기 2.5%, 4분기 2.1%, 올해 1분기 1.8%, 2분기 0.2%로 뒷걸음질쳤다. 4분기에는 마이너스가 될 가능성도 나온다.

실질임금 상승률이 떨어지면 가계가 지갑을 닫아버린다. 소비심리 위축은 물가상승률 둔화나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경제 활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근로자 전체 평균으로 봤을 때 실질임금은 조금씩이라도 늘고 있다. 그러나 상용직과 일용직을 분리해 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3분기 상용직 실질임금은 1인당 평균 312만1213원으로 1년 전보다 5700원(-0.2%) 줄었다. 임시직은 125만44원으로 3만6506원(-2.8%)이나 감소하며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월급이 많은 상용직 수가 늘어나면 상용직ㆍ임시직 각각의 실질임금이 줄어도 전체 평균은 올라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동석 기자/ds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