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11월 가계대출 급증…“집값 떨어지면 경제 전체에 부담”
[헤럴드경제] 11월 가계대출이 4조원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규제완화와 저금리 정책이 가계대출의 폭증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농협, 기업, 외환은행 등 7개 시중은행의 이달 27일 가계대출 잔액은 443조7834억원으로 10월 말에 비해 3조9973억원 급증했다. 마지막 영업일인 28일 증가분을 합치면 증가액은 4조원을 넘어선다.

이들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이 4조원을 넘어선 것은 8월 4조6302억원, 10월 4조8459억원에 이어 올해 들어 벌써 세번째다.

이들 7개 은행에 더해 가계대출을 취급하는 나머지 10개 은행을 합산하면 전체 은행권의 11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사상 최대를 기록했던 10월(6조9000억원 증가)에 버금가는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가계대출의 급증은 주택담보대출이 주도했다. 7개 은행의 11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3조1518억원에 달해 10월(3조8586억원)에 이어 두달 연속 3조원을 넘어섰다. 부동산 규제완화로 주택 거래가 살아나면서 주택담보대출의 수요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신용대출 증가액도 9월 1611억원, 10월 8279억원에 이어 두달 연속 크게 늘어 올해 들어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선 1조276억원을 기록했다. 부동산 경기의 활성화로 소비 심리가 살아났다는 분석도 있지만, 생계비 부족 등을 메우려는 수요도 만만찮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가계 대출 급증세가 나중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있다. 특히 부동산 규제완화와 저금리 정책에 따른 주택 담보대출 증가가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고 경고한다. 집값이 떨어지면 무리해서 집을 산 사람의 부담이 커지고 소비가 급감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 경제에 대해 “부동산 활성화 정책으로 인한 가계부채 비율 증가로 민간 소비의 리스크가 상승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