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우리은행 매각 네번째 실패… 공적자금 회수 물거품
[헤럴드경제=조동석 기자]28일 정부의 우리은행 매각이 실패로 돌아갔다. 이번이 네번째다. 이에 따라 공적자금 회수 노력은 또다시 물거품이 됐다.

정부는 경영권이 주어지는 지분(30%)과 투자차익 실현이 가능한 지분(26.97%)을 따로 매각하는 ‘투트랙(two track)’ 방식을 선택했었다.

지난 3차례 매각안이 경영권 인수자 대상이었다면, 이번에는 경영권 뿐 아니라 투자차익을 희망하는 모든 투자 수요를 포함했다. 확실한 주인 찾아주기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으려 했다.

그러나 유력한 인수자로 거론됐던 교보생명이 이날 예비입찰에 불참하면서 공적자금 회수는 다음을 기약할 수밖에 없게 됐다.

우리금융 관련기관에 투입된 공적자금은 12조7663억원. 정부는 이 중 5조7590억원(회수율 45.1%)을 회수했다.

2002년 6월 국내 상장 공모 때 3672억원을 회수한 것을 비롯 ▷2004년 9월 1차 블록세일 3240억원 ▷2007년 6월 2차 블록세일 9168억원 ▷2009년 11월 3차 블록세일 8660억원 ▷2010년 4월 4차 블록세일 1조1607억원을 각각 지분매각을 통해 거둬들였다. 또 배당금 1조3684억원과 파산배당금 등 7559억원이 회수됐다.

경남은행 매각 대금 1조2300억원과 광주은행 매각 대금 5003억원 등 민영화 성과로 거둬들인 1조7000억원 가량을 합치면 회수금액은 7조4892억원에 이른다. 미회수 금액은 투입 공적자금에서 5조2771억원 부족하다.

적어도 예보 지분에다 약 15%의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아야 공적자금을 전액 상환할 것으로 금융권은 보고 있다.

정부가 경영권 프리미엄을 얹어서 팔려고 하지만, 30% 지분을 살 수 있는 곳은 없었다.

ds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