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씁쓸한 서울…10∼30대시민 사망원인 1위가 ‘자살’
[헤럴드경제=최진성 기자]지난해 10~30대 서울 시민의 사망원인 1위는 ‘자살’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26일 발간한 ‘서울 시민의 건강과 주요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사망자는 총 4만2063명으로, 2008년(3만8298명) 이후 5년 연속 증가했다.

지난해 사망률(인구 10만명당 사망자 수)도 375.6에서 420.1로 높아졌다. 특히 지난해 서울의 사망자 수와 사망률은 1983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망원인 1위는 ‘암’으로 지난해 전체 사망자 중 31%(1만3028명)가 이로인해 목숨을 잃었다. 이어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자살, 당뇨병, 폐렴, 간질환, 만성하기도 질환, 운수사고, 알츠하이머병 순이었다.


10대부터 30대까지는 사망원인으로 자살이 가장 많았고, 40대 이상부터는 암이 가장 많았다. 지난해 10대 사망자 151명 중 35.1%, 20대 사망자 861명 중 51.6%, 30대 사망자1092명 중 39.7%가 자살했다.

40대 사망자 2456명 중 32%, 50대 사망자 5067명 중 40.8%, 60대 사망자 6379명 중 48.8%, 70대 이상 사망자 2만6069명 중 25.9%는 암으로 숨졌다.

한편 19세 이상 시민의 비만율은 2008년 20.6%에서 지난해 23.2%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남성 비만율은 26.6%에서 30.6%로, 여성 비만율은 14.7%에서 16%로 각각 늘었다.

스스로 비만이라고 생각하는 주관적 비만 인지율도 2008년 30%에서 지난해 39.3%로 늘었다. 같은 기간 여성은 31.6%에서 41%로, 남성은 28.2%에서 37.5%로 각각 증가했다.

19세 이상 시민의 음주율은 높아졌으나 고위험 음주율과 흡연율은 줄었다. 월간 음주율(최근 1년 동안 1개월에 1회 이상 음주한 비율)은 2008년 57.7%에서 지난해 60.7%로 높아졌지만, 건강에 위해가 되는 고위험 음주율은 20.3%에서 17.5%로 낮아졌다.

고위험 음주율은 남자의 경우 1회 음주량이 소주 7잔 이상 또는 맥주 5캔 정도를, 여자는 소주 5잔 이상 또는 맥주 3캔 정도를 주 2회 이상 마시는 비율이다.

성인 흡연율은 2008년 24.2%에서 지난해 21.7%로 감소했다. 지난해 여성 흡연율은 3.7%로 5년 전과 같지만, 남성 흡연율이 45.6%에서 40.6%로 줄었다.

i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