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재테크> ‘기지개’ 켜는 금펀드…내년엔 반등할까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 달러 강세 현상이 계속되면서 ‘천덕꾸러기’ 신세로 전락했던 금 펀드가 다시 살아날 조짐이 보이고 있다. 최근 유럽 등 경제지표가 호전되고 각국의 중앙은행들도 금에 대한 수요를 늘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낙관하기에는 여전히 이르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6일 온스당 1142.60달러로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던 금가격은 이후 1200달러에 근접할 정도로 뚜렷한 반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상 시기를 미룰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는 가운데, 러시아 중앙은행 등이 외환보유고 다양화를 목적으로 금 매입량을 늘리고 있다는 소식도 호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금 가격 하락의 직접적인 원인이 됐던 달러 강세도 주춤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달러가 강세를 나타낼 경우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금 가격은 하락한다.


이같은 상황에 따라 부진했던 금 펀드의 수익률도 일제히 반등하고 있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금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금펀드는 최근 1주일 사이 평균 2% 안팎의 수익을 거두고 있다. 같은 기간 전체 파생상품 펀드 중 가장 좋은 성과다.

개별 펀드별로는 ‘미래에셋인덱스로골드특별자산자(금-재간접)’ 펀드가 2.80%의 수익률을 거두고 있고, ‘삼성KODEX골드선물특별자산상장지수[금-파생]’(2.16%)와 ‘KB스타골드특별자산(금-파생)A’(2.15%)이 뒤를 추격하는 모습이다.

향후 금 가격에 대한 전망은 엇갈린다. 이지연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유럽 경제 지표는 대체로 호조를 보이고 있고, 달러화 약세ㆍ유가 반등 등의 영향에 힘입어 금값이 오를 조짐이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이 연구원은 “세계 1위 금 수입국인 인도에서 금을 비롯한 수입 상품의 규제 강화에 대해 논의되고 있는 것은 다소 우려되는 점”이라고 덧붙였다.

미국의 금리 인상도 눈여겨볼 이슈로 꼽힌다. 대형 증권사의 한 프라이빗뱅커(PB)는 “미국이 내년 2분기 이후 본격적인 금리인상에 돌입하면 추가적인 금 가격 하락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라며 “저가매수 투자자의 경우 목표수익률을 정하고 분할 환매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금에 대한 직접투자가 부담스럽다면 금을 기초자산으로 발행된 파생결합증권(DLS) 투자도 고려해 볼 만하다. 손동현 현대증권 연구원은 “현재 금 가격이 추가적으로 급격히 빠지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DLS 투자가 유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