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기관 주식투자 비중, 美·英의 3분의 1 수준
금투협, 주식투자 활성화 정책 필요
국내 기관투자자의 주식투자 비중이 미국이나 영국 등 주요 선진국의 3분의 1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국내외 기관투자자 비교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12년 말 기준 한국 기관투자자의 주식투자 비중은 평균 14.3%로 호주(56.7%), 미국(45.7%), 영국(43.2%)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일본의 경우 기관투자자의 주식투자 비중은 11.7%에 그쳤다.

이에 따라 국내 주식시장에서 기관투자자(금융사 포함)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16.1%에 불과한 반면, 미국과 영국 기관투자자의 비중은 각각 47.1%(2013년 기준), 55.6%(2010년 기준)로 집계됐다.

세부 투자자별로 보면 펀드(운용사)의 경우 주식투자 비중은 평균 22.2%로 영국(67.8%), 호주(52.2%), 미국(46.9%) 운용사의 절반 수준이지만 일본(12.0%) 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의 경우 국내 주식투자 비중은 6.6%로 호주(61.1%) 영국(30.1%)과 미국(29.1%)보다 낮았으며, 일본도 국내보다 높은 9.2% 비중을 보였다. 연금 역시 중 국내 주식투자 비중은 14.1%로, 이는 미국(61.0%), 호주(56.8%), 영국(31.8%)에 미치지 못했지만 일본(13.8%)보다는 높았다.

국내 기관투자자의 전체 기금운용 규모는 약 1조1000억 달러(약 1210조원)로 미국의 32분의 1, 일본의 11분의 1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투자협회 관계자는 “국내 기관투자자는 주요국과 비교해 규모가 작고 주식투자 비중 역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기관투자자 육성을 위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연금의 비중 확대를 통해 특정 투자자에 치중되지 않도록 하고, 기관투자자의 주식투자도 정책적으로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양대근 기자/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