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형우량株 자사주 매입 움직임 확산
현대·기아차 6700억 매입 결정
삼성전자·SKT도 가세 가능성

주가 부양·지배력 강화 효과
증시 대장주들 주주환원 정책
배당 보다 자사주 매입 집중



현대ㆍ기아차가 대규모 자사주 매입에 나서면서 자사주 매입이 다른 대형 우량주(株)로 확산될지 시장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텔레콤의 자사주 매입 가능성에도 어느때보다 힘이 실리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국내 증시 대장주들의 ‘주주환원 정책’이 배당 확대보다는 자사주 매입에 더 집중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자사주 매입은 주가 부양 뿐아니라 지배력 강화의 효과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지배구조 개편과 주주환원 정책의 일환으로 자사주 매입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삼성전자가 자사주 매입 후 SK사례를 따를 경우 효과적으로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경수 신한금융투자 투자전략팀장은 “삼성그룹의 지배구조 변화가 SK 사례와 유사하게 진행된다면 삼성전자가 자사주 추가 매입을 통해 지분을 확보한 후 인적분할, 현물출자 등이 이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삼성전자가 배당 확대보다는 자사주 매입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경영권 승계과정에서 대규모 자사주 매입을 할 필요성도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시장은 SK텔레콤의 자사주 매입 가능성도 높게 점치고 있다. 양종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SK텔레콤의 배당수익률은 대형 상장업체 중 최고 수준이지만 자사주 매입 가능성도 여전하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그룹의 지배구조 이슈가 부각되면서 SK그룹의 지배력 강화를 위해 SK텔레콤이 자사주를 매입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SK홀딩스의 SK텔레콤 지분이 25%로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자사주 매입에 지나치게 보수적이던 한국 기업들의 전반적인 분위기도 바뀌는 모습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들어 상장사의 자사주 매입 규모는 3조원을 넘어섰다. 매입건수도 코스피 39건, 코스닥 55건으로 총 94건에 이른다.

현대차와 기아차가 주가 부양을 위해 각각 4491억원어치, 2209억원어치의 자사주 매입에 나섰고 앞서 NAVER와 삼성생명이 각각 2650억원, 1994억원 어치의 자사주를 매입했다. SK는 올들어 2차례에 걸쳐 총 7954억원어치의 자사주를 매입했다. 삼성중공업 2886억원, 삼성증권 1047억원, 한화생명 1918억원, 제일기획 952억원 어치의 자사주를 각각 매입했다.

무엇보다 대형 우량주들이 적극적으로 자사주 매입에 나설 경우, ‘코리아 디스카운트’도 크게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배당과 함께 한국 기업들의 소극적인 자사주 매입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불러오는 주 요인으로 지적돼 왔다.

박영훈 기자/par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