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어차피 미운털? 비박계, 친이계 9인 개헌논의를 위한 특위구성 결의안 제출…친박계와 세 대결 본격화 분석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지난 10일 여ㆍ야의원 35명이 개헌논의를 위한 ‘헌법개정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하면서 한동안 잠잠했던 개헌론이 재점화되고 있다. 특히 개헌논의에 힘을 보탠 의원들 가운데 4분의 1 이상이집권여당인 새누리당 의원으로 확인되면서 정치권에 거센 후풍을 몰고올 조짐을 보이고 있다. 개헌론은 박근혜 대통령이 “모든 이슈를 삼켜버리는 블랙홀이 될 것”이라며 논의 자제를 당부한 이슈이고,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역시 청와대의 경고 메시지가 있은 직후 당분간 꺼내지 않기로 약속한 주제이기 때문이다.

결의안에 이름을 올린 여당 의원들은 9명에 불과하지만, 그 면면의 무게감은 가볍지 않다는 점에서 이목이 쏠린다.

우선 친이계 좌장으로 분류되는 이재오 최고위원이 이름을 올렸다. 국회내 ‘개헌전도사’를 자처하는 그가 언젠가는 개헌논의에 중심에 설 것이라는 전망은 있었지만 한발 빠른 행보에 새누리당 지도부는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친박에서 이탈해 지금은 ‘탈박(근혜)’으로 분류되는 진영 의원, 비박계 재선인 나성린ㆍ안효대 의원 등도 결의안에 서명했다. 서명에 참여했다가 막판에 이름을 뺀 충청권 차기주자 정우택 의원도 비박계로 분류된다.

개헌 결의안은 박 대통령의 ‘개헌 함구령’에 정면으로 반기를 든 것과 다름 없다. 때문에 개헌 결의안을 계기로 김무성 대표를 중심으로 한 비주류계와 친이계를 망라한 비박계가 여전히 건재한 친박계에 본격적인 당권경쟁에 돌입한 것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또 친박, 비박계의 세 대결 무대는 2016년 총선을 앞두고 당내 지역위원장을 재조정하는 조직강화특위가 될 것이란 관측이 유력하다.

친박계는 새누리당내 일부 의원들이 개헌논의를 재개한 것에 대해 불편한 속내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친박계 한 재선 의원은 “의원 개개인이 독립적인 헌법기관이므로 서명한 분들의 소신을 왈가왈부할 순 없다”면서도 “경제법안들이 수두룩하게 쌓인 지금, 국회에서 개헌논의를 한다는 것에 국민들이 동의하겠나. 추진 동력을 얻지 못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그러면서 “경제활성화에 힘을 쏟자는 박 대통령의 당부에도 개헌론이 들썩이는 건 때를 잘 못 읽고 있는 우(愚)”라고 비판했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